18.118.137.243
18.118.137.243
close menu
KCI 등재
ADHD로 진단된 학생의 장점에 관한 초등학교 교사의 관점
Elementary Teachers’ Perspectives on the Strengths of Students with ADHD
오재분 ( Oh Jae-bun ) , 김건희 ( Kim Keon-hee )
DOI 10.23944/Jsers.2018.09.57.3.7
UCI I410-ECN-0102-2019-300-001180647

본 연구는 통합학급에서 ADHD로 진단된 학생을 지도한 경험이 있는 초등학교 교사들이 ADHD로 진단된 학생의 장점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알아본 것이다. 이를 위하여 초등학교 교사 중 ADHD로 진단된 학생을 지도한 경험이 있는 교사 5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고, 면담을 통해 수집된 면담자료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심층 면담에 참여한 교사들은 첫째, ADHD로 진단된 학생은 노력하려는 모습을 가지고 있다고 하였다. 둘째, ADHD로 진단된 학생은 하나 이상의 장점을 가지고 있다고 하였다. 세째, ADHD로 진단된 학생은 선호하는 것에 대해서 집중력을 보인다고 하였다. 넷째, ADHD로 진단된 학생은 형식에 얽매이지 않는 자유로운 모습을 가졌다고 하였다. 위와 같은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서 ADHD로 진단된 학생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이들이 보이는 문제점에만 관심을 가질 것이 아니라, 장점을 발견하려는 교사의 노력과 관점의 변화가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지금까지는 ADHD로 진단된 학생의 문제점의 개선에 많은 관심을 보여 왔지만, 앞으로는 문제점뿐만 아니라 장점에 대해서도 관심을 가지고 두 가지 모두를 고려하여 ADHD로 진단된 학생들에게 적절한 교육방법을 제공하고, 긍정적인 교육적 성장을 이끌어 낼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examines how the strengths of students with ADHD are recognized and applied in educational environments, through the experiences of five elementary school teachers who instruct ADHD students in an inclusive class in H City.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using semi-structured questions. These were recorded with the consent of the participants, and the interview transcriptions were analyzed inductively using repetitive comparative analysis they yielded five main themes, based on teachers’ descriptions of the strengths of ADHD students. These are as follows. First, ADHD students are aware of their strengths and their weaknesses, and they try to improve. Second, they show outstanding performance in learning at least one area. Third, they like their friends and teachers and want to hang around with them. Fourth, they are free from formality. In general, this study found that there is a need for teachers to make efforts to understand ADHD children and explore their strengths. To achieve an education based on an understanding of the strengths of ADHD children requires improving teachers' recognition, and this suggests a need for teacher education.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Ⅵ. 논의 및 결론
참 고 문 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