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41.30.162
3.141.30.162
close menu
KCI 등재
조선중기(朝鮮中期) 승려한시(僧侶漢詩)의 도검의상(刀劍意象)에 대한 고찰(考察)
A study of the poems about the sword imagery of the buddhist monks in the Middle Joseon Dynasty Literature in classical Chinese
조혁상 ( Cho Hyuk-sang )
동방한문학 76권 225-257(33pages)
UCI I410-ECN-0102-2019-800-001773705

1592년에 開戰된 임진왜란은 조선 역사에 있어서 미증유의 전쟁이었으며, 동시에 조선 중기의 刀劍文學에 지대한 영향을 끼치게 된 크나큰 사건이었다. 이러한 왜란 시기 동안 사대부들의 전란 체험을 바탕으로 한 수많은 도검문학 작품들이 탄생하였고, 이를 근저로 하여 17~18세기에 다양한 문체의 刀劍文學 作品群이 창작되는 潮流가 형성되었다. 그런데 임진왜란을 전후로 창작된 도검문학작품들 중에서 僧侶와 僧兵將의 禪詩와 漢詩들을 살펴보면, 특이하게도 刀劍意象이 그 안에 담겨있는 경우가 종종 발견된다. 16세기 말기 선시와 戰爭護國詩에서의 도검의상은, 수행을 통해 破邪顯正을 이루는 心劍인 禪劍과 文殊菩薩의 지혜의 검인 般若劍으로서의 의미를 가질 뿐만 아니라, 護國佛敎의 護國劍적인 의미도 아울러 지니고 있었다. 불법에 대한 정진의 신념과 불교적인 지혜의 관념, 호국불교를 바탕으로 한 구국의 일념이 도검의상에 담겨서 문학적으로 형상화되었다는 점은, 조선중기의 도검문학이 보여주는 또다른 면모라 할 수 있다. 이 중에서 선검과 반야검을 다룬 시들은 禪詩의 성격을 강하게 지니고 있으며, 호국검을 다룬 시의 경우에는 오히려 사대부의 邊塞詩에 가까운 풍격을 보이고 있는 점이 확인된다. 본고에서는 16~17세기 朝鮮漢詩 중 승려들에 의해 창작된 한시의 刀劍意象이 문학적으로 형상화된 樣態를 고찰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佛敎的 刀劍意象의 개념과 실체에 대해서 개략적으로 알아보고, 주로 승병장과 여타 승려들의 한시 속에 나타난 도검의상의 세 가지 양태인 선검, 반야검, 호국검에 대해 살펴볼 것이다.

The ImJinWheRan(壬辰倭亂) in 1592 was a historical great war of Joseon Dynasty, and this war gave a direct influence to the Korean Sword literatures(刀劒文學). During this period, SaDaeBu(士大夫) class people wrote a lot of poems of Korean Sword literatures(刀劒文學), and these poems caused effect to various kind of literary works about the Korean Sword literatures(刀劒文學) in the 17-18th centuries. In general, poems written by buddhist monks(僧侶) and SUngByungJang[僧 兵將: the leader of UiSungGoon(義僧軍: Righteous monk-army)] in the 16-17th century showed three types of sword imagery (刀劍意象). They include SunGum(禪劍), BanYaGum(般若劍), and HoGookGum(護國劍). SunGum(禪劍) is the sword for removing evils and realizing justice(破邪顯正) in the Buddhist practice. BanYaGum(般若劍) is the wisdom sword of the MunSuBoSal(文殊菩薩). HoGookGum(護國劍) is the sword of State-Protection Buddhism(護國佛敎). While SunGum(禪劍) and BanYaGum(般若劍) was considered as the sword of mind(心劍), HoGookGum(護國劍) was the Guardian Sword for the country. This paper shows the three aspects(SunGum, BanYaGum, HoGookGum) of the poems about the sword imagery(刀劍意象) of the buddhist monks(僧侶) in the Middle Joseon Dynasty Literature in classical Chinese. The two aspects(SunGum, BanYaGum) are related to the sword imagery of buddhism (佛敎的 刀劍意象) and the poem of Zen(禪詩), and the last(HoGookGum) is related to the sword of Byeonsaesi(邊塞詩: poems of frontier fortress).

1. 서론
2. 佛敎的 刀劍意象의 槪念과 實體
3. 朝鮮中期 僧侶漢詩에 나타난 刀劍意象의 樣態
4. 결론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