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46.221.204
3.146.221.204
close menu
KCI 등재
미국 교원양성기관 작문교육론 내용 분석 연구
Teaching the Methods of Secondary Writing Instruction in the United States
곽수범 ( Kwak Subeom )
작문연구 38권 35-63(29pages)
UCI I410-ECN-0102-2019-800-001638890

이 연구는 미국 교원양성과정 작문교육론 과목의 구성과 내용에 주목하여, 우리나라 사범대학 국어교육과 작문교육론 개선 방향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미국 교원양성기관 67곳의 강의계획서와 수업 자료를 수집했다. 이렇게 수집한 자료는 작문교육론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다섯 가지로 대별할 수 있는 이론적 틀을 바탕으로 분석하였다. 67개의 강의계획서와 수업 자료를 검토한 결과, 1) 구성과 내용의 다양성, 2) 문식성 개념의 확장, 3) 필자로서의 교사 정체성의 측면에서 시사점을 범주화할 수 있었다. 많은 작문교육론 교과목이 시대적 변화와 사회적 맥락에 대응하기 위한 다양한 시도를 포함하고 있다. 연구 중심 대학 위주로 사회적 실천 글쓰기와 사회문화적 글쓰기 관점이 강조되기 시작한 점도 주목할 만하다. 그러나 전통적으로 지배적인 교수법이었던 관습적 글쓰기와 과정중심 글쓰기가 여전히 영향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에서 분석하고 논의한 내용은 앞으로 효과적인 작문교육론 교육과정과 수업을 설계하는 과정에서 참고할 수 있는 지침이 될 수 있다.

In this study, I explored the structures and the state of the methods for secondary writing instruction in the United States and their implications for preparing Korean language arts preservice teachers specializing in writing. Following collection and investigation of 67 syllabi and associated course artifacts, a conceptual framework of five different writing approaches was adopted to illustrate the features of various methods courses. I uncovered three major findings: 1) diversity of content and format; 2) an expanded the definition of literacy; and 3) teachers’ identities as writers. Multiple assumptions and theories shape the way that preservice teachers are taught in their programs. Research-intensive institutions have begun to focus on writing as a social practice and writing in a socio-cultural context. However, perspectives that view writing as a skill and writing as a process still dominate this field. I expect this research to inform the design of future methods courses.

Ⅰ. 서론
Ⅱ. 선행 연구 검토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및 제언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