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49.243.32
3.149.243.32
close menu
KCI 등재
대학생의 유형별 글쓰기에서 나타나는 채점요인 간의 관계 분석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coring Factors in College Students’ Writing
박찬흥 ( Park Chan-heung )
작문연구 38권 65-87(23pages)
UCI I410-ECN-0102-2019-800-001638901

본 연구는 대학생이 작성한 세 가지 유형의 글에서 나타나는 분석적 채점 기준에 따른 요인들의 점수가 어떤 관계를 맺고 있는지를 확인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대학 글쓰기 교육의 내용과 방법에 대한 의사결정을 할 때 글쓰기 전이를 염두에 두어야 함을 강조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충북 J대학교의 1학년 학생 221명이 작성한 알리는 글, 설명하는 글, 주장하는 글 등 세가지 유형을 채점 대상 결과로 선정하였다. 이 글들을 3인의 평가자가 분석적 채점 기준에 의해 채점한 뒤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다음과 같은 점을 도출할 수 있었다. 첫째, 글 유형이 달라질 경우 채점 기준의 하위 요인들의 점수 분포는 서로 큰 관련을 맺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특정 글 유형에 따라 하위 요인의 점수 분포가 일관된 경향을 더 많이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글쓰기 교육의 성격, 주체, 내용, 방법 등과 관련한 의사결정을 내리는 데에 도움을 주기 위하여 글쓰기 전이와 관련된 실증적인 정보를 보다 다양하게 확보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scores of factors according to analytical scoring criteria in three types of articles written by college stud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mphasize the necessity to consider writing transition when making decisions about content and method of university writing education. For this purpose, 221 types of first grade students in Chungbuk J university were selected as the evaluation results. These articles were scored by three evaluators with analytical scoring criteria and analyz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following points could be derived. First, the score distribution of the sub - factors of the scoring criteria did not have much relation with each other. Second, the score distribution of sub - factors showed more consistent tendency according to the specific writing type.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re is a need to obtain more diverse empirical information related to writing transition in order to help decision-making on the nature, subject, content, and method of writing education for university students.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