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43.9.115
3.143.9.115
close menu
KCI 등재
북한 초급중학교 쓰기교육 내용 분석 - 북한의 2013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과 교과서를 대상으로 -
Analysis of the Contents of Writing Education in 2013 revised Korean Curriculum and Textbook in North Korea
주재우 ( Joo Jae-woo )
작문연구 38권 173-200(28pages)
UCI I410-ECN-0102-2019-800-001638870

본고는 북한의 2013 교육과정과 초급중학교 교과서를 대상으로 북한 중등학교의 쓰기교육 내용을 파악해 보고, 이를 남한의 쓰기교육과 비교 분석하였다. 북한의 교육과정은 중핵적인 부분을 반복 심화하는 형태로 구성되어 있고, 관찰을 통한 쓰기를 생활화하도록 하였으며, 북한 사회의 문화적 양식으로 자리 잡은 글쓰기 유형을 학년에 따라 배우도록 하였다. 이에 따라 제작된 초급중학교 교과서는 이전 시기와 다르게 쓰기교육이 지식 이해가 아닌 학습 활동으로 이루어져 있다. 학습활동은 글쓰기의 과정 중 어휘 표현 부분을 강조하며, 관찰을 통한 관찰일기·묘사글 쓰기 등이 주요하게 다루어지고 있다. 교육용 글쓰기 양식인 토막글 쓰기와 북한 사회의 문화적 양식으로서 다양한 옹근글 쓰기가 함께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를 집단적으로 생산해 내도록 하는 경향도 나타난다. 남북한의 쓰기교육을 비교해 볼 때, 남한의 열린 교재관과 대비되어 북한은 닫힌 교재관을 지향하고 있다. 쓰기교육에도 소재나 제재 면에서 강한 정치이념성이 드러나는데, 특히 남한과 다른 의미로 사용되는 토론글 쓰기가 대표적 사례이다. 설득하는 글쓰기의 경우 남한은 논증의 요소에, 북한은 설득의 방식에 중점을 두는 경향이 나타났다.

This study explores North Korean writing education. The materials are the 2013 revised curriculum and elementary middle school textbooks in North Korean. It would be also compared writing education in South Korea and North Korea. The characteristic of North Korean education is that the core contents are repeated, the habit of observing and writing around is very important. The writing styles are cultural forms used in North Korea. New textbooks of North Korea have more learning activities than knowledge understanding and have a paragraph writing and a complete writing together, and pursue collective writing rather than individual writing. Writing Education in South Korea has an open view on textbooks, but North has closed view. Textbooks in North Korea is still strongly ideological, and teaching persuasive writing focused on not elements of argument but the methods of persuasion.

Ⅰ. 서론
Ⅱ. 북한 교육과정에 나타난 쓰기교육 내용
Ⅲ. 북한 교과서에 나타난 쓰기교육 내용
Ⅳ. 남북한 쓰기교육 내용 비교
Ⅴ. 결론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