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217.67.225
18.217.67.225
close menu
KCI 등재
오정희의 「저녁의 게임」에 나타난 헤테로토피아 양상 연구
A Study of Aspects of Heterotopia Observed in "An Evening Game" of Oh Jung-hee
도수영 ( Doh Soo-young )
현대문학이론연구 74권 107-127(21pages)
DOI 10.22273/SMLT.74.5
UCI I410-ECN-0102-2019-800-001770633

이 논문에서는 오정희의 「저녁의 게임」에 나타난 헤테로토피아 양상과 그것이 가지는 서사적 의미를 고찰하였다. 헤테로토피아는 푸코의 근대 담론에 따른 공간 사유와 문학적 공간의 의미가 함축되어 있다. 달리 말하면 ‘다른 공간’을 뜻하는 헤테로토피아는 병렬적으로 분산된 공간에 대한 논의이며 이는 근대 공간의 경계와 배치에 관한 개념이다. 아울러 이 공간은 언어를 뒤얽고 전복하는 위반의 문학적 공간이기도 하다. 「저녁의 게임」에는 이러한 헤테로토피아적 정향이 드러나 있다. 「저녁의 게임」은 화자의 불안정한 심리상태에 기인한 표층 공간과 심층 공간이 혼재적으로 서사된다. 다시 말해 「저녁의 게임」에서 헤테로토피아는 화자에게 전도되고 이를 통해 화자는 기만의 일상적 공간을 중화하고 중단한다. 또한 위반의 공간 생성은 부여된 규제를 향한 저항이며 경계를 허무는 몸짓이다. 이러한 연구는 해체적 서사전략을 통해 위계질서의 위선을 드러내는 과정을 검토함으로써 문학의 윤리적 소임에 대한 작가의 지향과 방법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제시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This study considered aspects of heterotopia and its narrative significance observed in "An evening game" of Oh Jung-hee. Heterotopia implies ideas of spaces and literary spaces based on the modern discourse of Michel Foucault. It is because heterotopia referring to "other spaces" is a discourse about spaces dispersed in parallel and a notion related to the boundary and placement of modern spaces. Moreover, these spaces can also be literary spaces of violation where languages are intertwined and subverted. This inclination of heterotopia is observed in the author's work, "An evening game." The narration of "An evening game" is simultaneously mixed between the surface layer space caused by unstable psychological state of the narrator and the deep space. In other words, heterotopia in "An evening game" is transmitted to the narrator, and the narrator consequently neutralizes and ceases the daily space of deception. Moreover, the generation of space of violation is considered resistance to the given regulations and a gesture destroying the boundary.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the sense that contributes to proposing a new perspective of the author's orientation and methods regarding the ethical mission of literature, by inquiring into the process of which hypocrisy of hierarchical order is revealed through deconstruction-based narrative strategies.

Ⅰ. 들어가며
Ⅱ. 표층 공간과 심층 공간의 혼재 양상
Ⅲ. 위반의 공간과 점멸하는 구원
Ⅳ. 나가며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