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2.15.63.145
52.15.63.145
close menu
KCI 등재
고유명사와 비역사 ― 신체제 이후 세대의 문학 ―
Proper nouns and non-historical
박수연 ( Park Soo-yeon )
현대문학이론연구 74권 129-148(20pages)
DOI 10.22273/SMLT.74.6
UCI I410-ECN-0102-2019-800-001770875

1918년에 탄생한 세대의 문학이 이 글의 논점이다. 다이쇼 민주주의가 끝났다고 논의되는 1925년이나 1931년 이후는 조선의 식민지 지식인에게는 희망과 채찍이 함께 왔던 시기인데, 3·1운동 이후의 사회적 저항이 조직적으로 전개되는 동시에 치안유지법을 통해 압박이 가해진 때가 이때이다. 이 시국의 내용이 비단 1918년에 태어난 사람에게만 영향을 미쳤을 리는 없지만, 이 세대의 삶에 결정적 조건이 되었다는 것은 분명해 보인다. 그것이란, ‘조선적인 것’에 대한 부채의식을 특별히 갖지 않아도 되는 시기가 되었다는 뜻이다. 러시아 혁명과 독일 봉기 이후의 정세를 세계사적 특징으로 하고 있는 이 시대에 태어나서 성장한 세대들이 자신들의 삶에 대한 객관적 판단과 같은 것을 하기 시작했을 때는 만주국의 설립과 일본의 역할이 표나게 두드러진 시기이다. 이런 의미에서 이 시기의 청년들은 한국 근대문학 1세대가 가졌던 단절 의식과는 다른 의미의 단절 속에서 의식화되었다고 할 수 있다. 우선 이들은 전통과의 갈등을 거칠 필요가 없는 세대라고 할 만하다. 이 세대들이 탄생했던 1918년은 식민지화 이후 조선의 오래 억압되었던 열망이 터져 나오기 직전의 해이다. 그 열망은 식민지를 거쳐 여러 목소리들의 충돌로 이어졌고, 여러 역사적 단절과 충격을 거쳐 새로운 언어 탐구로 연결되었다. 그 결과 해방과 한국 전쟁 이후는 다양한 실존의 층위가 형성되고 그로써 하나하나의 이름을 가지게 되었다. 그것들은 오래된 시간들의 기억을 복원하고 그 실증적 지위가 다시 확인됨으로써 한국문학의 이름을 영롱하게 만들어 줄 성좌들이다.

The literature of a generation born in 1918 is the point of this article. After 1925 or 1931, when the period of Taisho-Democracy was ended, there was a time when hope and a whip came to the intellectuals of Joseon. It was the time when the social resistance after the Samil(3.1) movement was systematically developed and the colonial pressure was applied through the law of the policing method to be. Although the contents of this condition may not have affected only those born in 1918, it seems clear that this was a decisive condition for the life of this generation. It means that it is time to not have a special sense of debt to 'the Chosun'. When the generations born and raised in this era, which characterized the world after the Russian Revolution and the German uprising, began to do the same thing as their objective judgments about their lives, the establishment of the Manchukuo and the role of Japan were prominent. In this sense, it can be said that the young people of this period were conscious of the discontinuity of the meaning which is different from the disconnection consciousness of the first generation of modern Korean literature. First, they are generations that do not have to go through conflict with tradition. 1918, the birth of these generations, is the year before the outpouring of the long oppressed desire of Joseon since colonization. The aspiration led to the collision of the voices through the colonies and led to a new language inquiry through various historical breaks and shocks. As a result, after the liberation and the Korean War, various layers of existence were formed and by that, they became one by one. They are the constellations that restore the memory of the old times and make the name of Korean literature glorify by confirming its empirical status.

Ⅰ. 서론 - 소설텍스트에서 보이지 않는 선 유무
Ⅱ. 식민지 신체제와 새로운 문학
Ⅲ. 역사의 흔적과 언어
Ⅳ. 결론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