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191.189.85
18.191.189.85
close menu
KCI 등재
박남수 시의 미학성 연구 ― 초기 시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Aesthetics of Park, Nam-soo’s Poetry - Focusing on Early Period Poetry
오형엽 ( Oh Hyung-yup )
현대문학이론연구 74권 255-271(17pages)
DOI 10.22273/SMLT.74.11
UCI I410-ECN-0102-2019-800-001770759

이 글은 박남수 초기 시 세계의 중핵을 차지하는 이미지의 대비 및 조화, 주체의 정동과 운동성 및 모티프의 파생에 대해 새로운 해석을 시도하는 동시에, 지금까지 논의되지 않았던 미학적 배후로서 ‘밤’의 아우라를 조명함으로써, 박남수 시의 미학성을 서구적 모더니즘이나 주지적 이미지즘과는 변별되는 동양적 모더니즘 혹은 한국적 이미지즘의 특성으로 해명하고자 한다. 박남수 초기 시의 전체적인 특성은 ‘시적 다중 묘사와 모티프의 파생’ 및 ‘정(靜)과 동(動)의 결합’으로 요약될 수 있다. 박남수의 초기 시 중에서 첫 시집 『초롱불』의 언어 표현의 방식은 시각과 청각적 이미지의 대비 및 조화, 주체의 정동과 운동성 등의 구성 요소들을 다중적으로 배치하는 시적 묘사를 보여주면서 미학적 배후로서 ‘밤’의 아우라를 제시한다. 제2시집 『갈매기 소묘』는 이러한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하나의 이미지로 수렴하면서 ‘바람’, ‘갈매기’, 꽃’ 등의 모티프를 파생시킨다. 첫 시집은 시각과 청각적 이미지의 배치가 만드는 고독의 정동과, 이것을 극복하기 위한 주체의 운동성이라는 양극적 구도가 표면 구조를 형성하는데, 내면 구조에는 이러한 현상들을 배태하고 발생시키는 미학적 배후로서 ‘밤’이 자리 잡고 있다. ‘밤’은 단순히 시간적 배경만을 의미하지 않고, 시간성과 공간성을 포괄하는 어떤 배후의 미학적 거점으로서 시각과 청각적 이미지, 주체의 고독과 운동성, 적막감과 비애의 아우라 등을 배태하고 발생시키는 근원적 영역이라고 볼 수 있다. 미학적 배후로서 ‘밤’은 서구 모더니즘이나 이미지즘과 구별되는 ‘동양적 모더니즘’ 혹은 ‘한국적 이미지즘’의 변별성을 확보하는 중요한 토대가 된다. 제2시집은 첫 시집의 미학적 특성이었던 시각과 청각적 이미지의 대비 및 조화, 시적 주체의 고독의 정동, 이를 극복하기 위한 운동성 등의 요소들을 하나의 이미지로 수렴하면서 모티프화하는 경향을 보여준다. 이전의 시적 구성 요소들을 수렴하고 결집하는 모티프인 ‘바람’에서부터 시적 주체의 영역이 분리되면서 파생되어 나온 ‘갈매기’의 모티프는, 다시 주체를 포함하는 생명적 존재의 상징으로서 ‘꽃’의 모티프를 파생시킨다. 이러한 변모에도 불구하고 첫 시집과 제2시집의 공통분모를 이루는 미학성은 시적 주체를 상징하는 핵심적 이미지로서 “초롱불”의 “조용히”와 “흔들리든” 모습, “바람결”의 “튀치는” 모습과 “갈매기”의 “가다듬으며/눈을/감”는 모습, “꽃”의 “무구”함의 순수성과 “피고” “흐르”고 “타는” 역동성 등의 양극을 모순적으로 충돌시키면서 결합하는 부분에서 찾을 수 있다. 초기 시의 이러한 미학성을 ‘정(靜)과 동(動)의 모순적 결합’이라고 명명할 수 있다.

This study attempts to interpret the contrast and harmony of the image, the affect and dynamics of the subject, derivation of motifs that occupies the core of Park Nam-soo’s early poetry, while at the same time illuminating the aura of ‘night’ as aesthetic back.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aesthetics of Park Nam-soo’s poetry as a characteristic of oriental modernism or Korean imagism which is different from western modernism or intellectual imagism. The overall characteristics of Park Nam-soo’s early poetry can be summarized as ‘poetic multi-depiction and motif derivation’ and ‘combination of static and dynamic’. Park Nam-soo’s the first anthology in his early poetry “Lantern” shows a poetic depiction of multiple arrangements of elements such as contrast and harmony of visual images and auditory images, the affect and dynamics of the subject, and shows the aura of ‘night’ as aesthetic back. The second anthology “Seagull Drawings” is a collection of motifs such as ‘wind’, ‘seagull’ and ‘flower’ while converging these various elements into one image. The first anthology forms the surface structure as biblical composition of loneliness affect to be created by the arrangement of visual and auditory images and mobility of the subject. In the inner structure, ‘the night’ is located as an aesthetic back which generates these phenomena. ‘Night’ does not mean simply the temporal background, but it is a fundamental area that embodies and generates visual images and auditory image, loneliness and mobility of the subject, aura of despair and sorrow as a certain aesthetic base of the background encompassing time and space. Can be. ‘Night’ as an aesthetic back is an important foundation for securing the distinctiveness of ‘Eastern modernism’ or ‘Korean imagism’ distinguished from Western modernism and imagism. The second anthology shows the tendency to motivate and convergs to one image the elements such as the contrast and harmony of the visual images and auditory images, the loneliness affect of the poetic subject, and the motility to overcome them which were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the first anthology. The motif of the ‘seagull’ which was derived from the motif of the previous poetic elements and gathering together from the ‘wind’ to the poetic subject is derived a motif of ‘flower’. Despite these transformations, the aesthetics that form the common denominator of the first anthology and the second anthology can be found in the part where the contradictory collision between the key images that symbolize the poetic subject, such as the ‘quiet’ and ‘shake’ of the ‘lantern’, the ‘splashing’ the purity of the ‘seagull’, the purity of the ‘solid’ and the ‘dying’ ‘burning’ of the ‘flower’. This aesthetics of early poetry can be called ‘contradictory combination of static and dynamic’.

Ⅰ. 머리말
Ⅱ. 『초롱불』- 이미지의 대비와 조화, 주체의 정동과 운동성, 미학적 배후
Ⅲ. 『갈매기 소묘』 - 이미지들의 수렴과 모티프의 파생: 바람, 갈매기, 꽃
Ⅳ. 맺음말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