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2.162.179
3.12.162.179
close menu
KCI 후보
초등학교 4학년 학생들의 독서 감상문 분석 연구 - 텍스트 유형과 독후 반응의 관계를 중심으로
The Study on Fourth Grade Students’ Responses Shown in Their Book Reviews
권이은 ( Kwon Een )
한국어문교육 26권 5-30(26pages)
UCI I410-ECN-0102-2019-700-001656884

이 연구는 초등학교 4학년 학생들의 독서 감상문에 나타난 독후 반응을 텍스트 유형과 관련하여 분석한 연구이다. 텍스트 유형에 따른 독후 반응유형의 분포 차이와 그 특징을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텍스트 유형에 따라 반응 유형의 비중이 다르게 나타나는 경향성을 확인하였다. 전체적으로는 분석적, 개인적 반응이 다수를 이루었다. 이야기책을 읽은 후에는 전체 내용을 반영한 반응, 정보책을 읽은 후에는 주로 부분적인 내용을 다루는 반응을 보였다. 또한, 이야기책 독서 후에는 교훈적 반응, 정보책 독서 후에는 새로운 정보에 대한 반응이 좀 더 두드러졌다. 그리고 같은 유형의 반응도 텍스트의 유형에 따라 반응을 구성하는 과정이 다름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독자의 목적 또한 반응의 매우 중요한 열쇠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텍스트가 가지고 있는 핵심적인 목적이외에, 자신의 목적에 따라 반응하는 학생들도 있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해 학생들의 독후 반응은 텍스트 유형과 관련이 있으면서도, 독자로서의 주체성을 잃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앞으로 독서 연구에서 이에 대한 고려가 반드시 수반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analyses readers’ book reviews, focusing on the responses of elementary students (readers) after reading a book: the differences of response according to text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responses. Analysis frame was composed of two text types(informational and literary texts) and what they focused on, texts or readers. There were two main conclusions: (1) Some readers’ response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depending on text types. These characteristics belong to text types, as their objective is similar to that of writer’s. (2) Other readers’ responses show they connect their reading objectives to texts, regardless of their types. These responses showed their agency during the reading process. From the above results, the following could be confirmed―that the students' reading responses were related to the text types. However, they did not lose their agencies as readers. In the future, students' responses to reading research must be considered.

1. 서론
2. 독후 반응의 개념과 텍스트 유형
3. 연구 방법
4. 초등학교 4학년 학생들의 독서 감상문 분석 결과
5. 논의 및 제언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