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38.105.31
3.138.105.31
close menu
KCI 등재
상담전공 학부생의 상담자활동 자기효능감 변화 양상 및 예측요인 연구
Exploring Changes and Predictors in Counselor Activity Self-Efficacy among Undergraduate Counseling Students
이아라 ( Lee A-ra ) , 조항 ( Jo Hang ) , 김영근 ( Kim Youngkeun ) , 이주영 ( Lee Juyoung )
상담학연구 19권 5호 75-92(18pages)
UCI I410-ECN-0102-2019-300-001172885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이용이 불가한 자료입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상담전공 학부생들이 상담교육과정을 경험하는 동안 상담자활동 자기효능감이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확인하고, 이러한 변화에 학년, 전공만족도, 상담실습이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확인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상담관련 학과가 학부에 설치되어 있는 3개 대학에 재학 중인 상담관련 전공 학부생을 대상으로 세 차례에 걸쳐 설문을 실시하여 수집한 480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수집한 자료 분석을 위해 잠재성장모델링을 적용하였다. 분석 결과, 모든 하위요인들과 전체 상담자활동 자기효능감 모형에서 초기치와 변화율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초기치와 변화율에 대한 예측요인분석에서는 학년은 초기치에 부적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영향을 주었고, 실습시간은 변화율에 정적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주었다. 초기치와 변화율에 대한 전공만족도의 영향은 모든 모형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본 연구결과는 상담자로 교육받는 상담전공 학부생들의 역량 변화를 경험적 자료를 통해 확인했다는 점, 상담 전공 대학생의 발달을 종단적 자료를 통해 확인했다는 점, 보다 긍정적 변화를 위해 이들에게 무엇을 제공해야 하는지를 확인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the level of counselor self-efficacy changes among undergraduate counselors-in-training throughout their counselor education program,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grade, major satisfaction, and counseling practice on these changes. For this purpose, we measured the counselor self-efficacy of 480 undergraduate students in counseling program at three universities and at three different time points, using Counselor Activity Self-Efficacy Scale. We applied a Latent Growth Modeling to analyze the data. We found tha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intercept and slope for all the sub-scales and the total CASE-S. Specifically, the predictive factor analysis for its intercept and slope showed that participants’ grade had a negative effect on the intercept scores, whereas practicum hours were positively related to the slope in the level of counselor self-efficacy. However, there was no effect of students’ major satisfaction level on both intercept and slope values. Our findings is meaningful with providing an empirical data to show the change in competency of undergraduate counseling students, offering a longitudinal data about their development in counselor education, and identifying what we should offer them for more positive change.

서 론
방 법
결 과
논 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