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116.85.72
18.116.85.72
close menu
KCI 등재
912 경주 지진을 간접 경험한 일반인의 정신건강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사회적 요인: 개인 리질리언스, 사회적 지지, 사회적 자본, 공적 신뢰를 중심으로
Psychosocial Factors Influential to the Mental Health of the Public Indirectly Affected by the 9/12 Gyeong-ju Earthquake: Focusing on Individual Resilience, Social Support, Social Capital, and Public Trust
민문경 ( Min Moon-kyung ) , 주혜선 ( Joo Hye-sun ) , 안현의 ( Ahn Hyun-nie )
상담학연구 19권 5호 93-116(24pages)
UCI I410-ECN-0102-2019-300-001171944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이용이 불가한 자료입니다.

본 연구는 2016년 9월 발생한 ‘912 경주지진’을 간접 경험한 일반인의 정신 건강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사회적 요인을 재난의 생태모델에 기반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개인 리질리언스, 사회적 지지, 사회적 자본, 공적 신뢰 등 생태모델의 체계별 요인들이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 심리사회적 부적응, 정신적 웰빙 등 다양한 측면의 정신건강 수준에 고유하게 기여하는 정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의 20대에서 60대를 대상으로 ‘912 경주지진’ 발생 2개월 경과 시점에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 395부 중 ‘912 경주지진’을 간접 경험했다고 응답한 322명의 자료를 분석에 포함시켰다. 인구통계학적 변인들과 위험 요인들을 통제한 상태에서 체계별 요인들을 순차적으로 투입하는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을 유의미하게 설명하는 변인들의 설명력은 미시체계 변인인 사회적 지지, 개인체계 변인인 개인 리질리언스, 외부체계 변인인 사회적 자본 순으로 컸고, 심리사회적 부적응을 유의미하게 설명하는 변인들의 설명력은 개인 리질리언스, 사회적 지지, 거시체계 변인인 공적 신뢰 순으로 설명력이 컸다. 정신적 웰빙의 경우 개인 리질리언스, 사회적 자본, 공적 신뢰 순으로 유의하게 설명되었다. 본 결과는 재난 이후 심리지원 및 개인과 사회의 회복에 있어 정신건강의 긍ㆍ부정적 측면 모두와 함께 재난 경험자들이 속한 사회적 맥락을 다차원적으로 고려해야 할 필요성을 시사한다. 끝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에 관해 논의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psychosocial factors that influence the mental health level of the Korean public indirectly exposed to the 9/12 Gyeongju Earthquake, based on the bioecological model of mass trauma. Specifically, this study analyzed the extent to which the systemic factors of the bioecological model, such as individual resilience, social support, social capital, and public trust, distinctly influence mental health level in various aspects, such as PTSD symptoms, psychological dysfunc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To this end, a nationwide survey was conducted 2 months after the occurrence of the 9/12 Gyeongju Earthquake to members of the Korean public in their 20s - 60s; of the 395 data collected, the data of 322 respondents who reported indirect exposure to the Gyeongju Earthquake were included in the analysis. As a result of conducting a hierarchical analysis where each systematic factor was consecutively input after controlling for demographic variables and risk factors, the systemic factor variables that was the strongest meaningful predictor of PTSD symptoms was social support, a microsystem-level variable, followed by resilience, an individual-level variable, followed by social capital, an exosystem-level variable; the systemic variables that was the strongest meaningful predictor of psychological dysfunction was individual resilience, followed by social support, followed by public trust, a macrosystem-level variable. For psychological well-being, the strongest meaningful predictors were individual resilience, social capital, public trust, in that order. These results suggest that for psychological assistance and individual and social recovery after a disaster, it is important to consider both the negative and positive aspects of mental health, and consider the multi-systemic social contexts in which the individuals who experience the disaster are situated. Finally, we discussed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서 론
방 법
결 과
논 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