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45.130.31
3.145.130.31
close menu
KCI 등재
대학생의 거부민감성과 대인관계문제의 관계: 자기침묵과 정서인식명확성의 매개효과
The Relationship between Rejection Sensitivity and Interpersonal Problems in College Student: The Mediating Effect of Self-silencing and Emotional Clarity
정소현 ( Jeong So-hyun ) , 양난미 ( Yang Nan-mee )
상담학연구 19권 5호 137-159(23pages)
UCI I410-ECN-0102-2019-300-001173155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이용이 불가한 자료입니다.

본 연구는 자기침묵과 정서인식명확성이 대학생의 거부민감성과 대인관계문제의 관계에서 매개효과를 나타내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학생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통해 349명, 오프라인 설문을 통해 68명의 자료를 수집하였고 구조방정식 모형 검증 방식을 통해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의 주요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거부민감성은 자기침묵, 대인관계문제와 정적 관계로 나타났고, 정서인식명확성과는 부적 관계를 보였다. 자기침묵은 정서인식명확성과 부적 관계를, 대인관계 문제와는 정적 관계를 보였다. 또한 정서인식명확성은 대인관계문제와 부적 관계를 나타냈다. 둘째, 매개효과 검증 결과, 자기침묵과 정서인식명확성은 거부민감성과 대인관계문제의 관계에서 각각 매개효과를 나타냈다. 셋째, 거부민감성은 자기침묵과 정서인식명확성의 이중매개를 통해 대인관계문제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실제 상담 장면에 적용해 본다면 자기침묵을 줄이고 정서인식명확성을 증진시키는 프로그램 개발을 통해 대인관계문제를 효과적으로 낮추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ether the self-silencing and emotional clarity had medi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rejection sensitivity and interpersonal problem of college students. For this purpose, 349 college students were online surveyed and 68 students were surveyed by offline questionnaires.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main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rejection sensitivity appeared to be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self-silencing and interpersonal problems and negative relationship with emotional clarity. Self-silencing appeared to be a negative relationship with emotional clarity, and showed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interpersonal problems. Emotional clarity appeared to be a negative relationship with interpersonal problems. Second, as a result of mediation effect verification, self-silencing and emotional clarity each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rejection sensitivity and interpersonal problems. Third, interpersonal problems were influenced on the rejection sensitivity through the dual mediation of the self-silencing and emotional clarity. Apply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in actual counseling for college students will effectively reduce their interpersonal problems by developing a program that reduces self-silencing and enhance emotional clarity.

서 론
방 법
결 과
논 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