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6.81.94
3.16.81.94
close menu
KCI 등재
유치원 교사를 위한 상담기술 훈련프로그램 개발과 효과
Development and Effect of Counseling Skill Training Program for Kindergarten Teachers
박은아 ( Park Eun-a ) , 김현정 ( Kim Hyeon-jung ) , 천성문 ( Cheon Seong-moon )
상담학연구 19권 5호 161-190(30pages)
UCI I410-ECN-0102-2019-300-001172683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이용이 불가한 자료입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유치원 교사의 상담능력 향상과 교사효능감 증진을 위한 상담기술 훈련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천성문 등(2017)의 상담 프로그램 연구모형에 따라 이론전문가와 현장전문가의 자문을 바탕으로 수정ㆍ보완하여 총 10회기로 구성된 최종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 검증을 위해 B시에 있는 유치원 교사 26명을 대상으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무선배정하고 사전ㆍ사후ㆍ추후 시점에 따라 비교하였다. 측정도구로는 상담자 발달수준척도, 부모-교사 간 의사소통의 어려움 척도, 그리고 교사효능감 척도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상담자 발달 수준, 부모-교사 간 의사소통의 어려움, 교사효능감에 대하여 상담기술 훈련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험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유의미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합의적 질적 분석에서도 상담기술 능력 중 초점두기 기술과 공감하기 기술 훈련이 가장 많은 도움이 되었으며, 참여자 대부분이 상담에 대해 편안함이 느껴지고 자신감이 생겼다고 보고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 및 제한점에 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evaluate a counseling skill enhancing program for kindergarten teachers, which will improve their counseling ability and teaching efficacy. To take this further, according to the research model of the counseling program written by Cheon Sung Moon et al (2017), we developed a final program, consisting 10 sessions which were corrected and strengthened based on the advice of theoretical and field experts.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26 kindergarten teachers in city B were randomly assigned to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and compared according to the point of time, pre-, post-, and later-. To measure it, scales of the level of skillfulness of counselor, difficulties of parent-teacher communication, and teacher efficiency have been used. As a result, for the level of skillfulness of counselor, difficulties of parent-teacher communication and teacher efficiency, the experimental group which were implemented to undertake counseling skill enhancing program, appeared to have significant effect compared to the controlled group. In the consensual qualitative analysis, the participants reported that the training of focusing skill and empathy skill were the most helpful for them among the counseling skill abilities and most of them felt comfortable and confident about counseling. Finally, limitation of this study and recommendation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서 론
방 법
결 과
논 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