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37.171.121
3.137.171.121
close menu
KCI 등재
‘-을 수 없-’의 의미 분석
The senses of the ‘-ul swu eps-’ construction
정연주 ( Jeong Yeon-ju )
영주어문 40권 5-36(32pages)
DOI 10.30774/yjll.2018.10.40.5
UCI I410-ECN-0102-2019-700-001656804

본고는 ‘-을 수 없-’의 의미를 보다 상세히 기술하고, ‘-을 수 없-’과 유의 관계에 있는 요소 중 ‘못’, ‘-을 줄 모르-’와의 차이를 밝히기 위한 시론을 제시하는 데 목적을 둔다. ‘-을 수 없-’의 의미는 크게 “불능(능력이 참여자 내부에 없음)”, “불허(외적 요인 때문에 사태의 실현이 허락되지 않음)”, “불가능성(명제가 참일 확률이 없음)”으로 나눌 수 있다. “불능”은 개체에 귀속되는 비교적 항구적인 불능일 수도 있고, 특정 장면에 귀속되는 비교적 일시적인 불능일 수도 있다. 개체 층위 불능을 표현하는 요소로는 ‘-을 줄 모르-’, ‘-을 수 없-’, ‘못’이 있는데, ‘-을 줄 모르-’는 “어떤 일을 할 수 있는 방법/절차를 배우고 익히지 않아 어떤 일을 하지 못함”을 나타내고, ‘-을 수 없-’은 “방법/절차의 습득과 무관하게 어떤 일을 하지 못함”을 나타낸다. ‘못’은 두 의미 모두를 나타낼 수 있다. 장면 층위 불능을 표현하는 요소로는 ‘-을 수 없-’과 ‘못’이 있다. 이 경우에는 ‘-을 줄 모르-’가 쓰일 수 없다는 것이 개체 층위 불능 의미와의 차이점이다. “불허”는 당위적(규범적) 요인에 의한 것일 수도 있고 비당위적 요인에 의한 것일 수도 있다. 비당위적 요인에 따른 불허를 표현하는 요소로는 ‘-을 수 없-’과 ‘못’, ‘-기 어렵-’이 있다. 이때 ‘못’은 ‘참여자에게 의지가 있어도’ 외부 여건 때문에 하지 못하는 일을 나타낸다면, ‘-을 수 없-’은 ‘참여자의 의지 요인을 고려하지 않고’ 외부여건 때문에 실현되지 않는 일을 객관적으로 나타낸다는 차이를 보인다. 당위적 요인에 따른 불허를 표현하는 요소로는 ‘-을 수 없-’과 ‘못’, ‘-면 안 되-’가 있다. 이때에도 ‘못’은 참여자에게 의지가 있어도 어떤 일을 하는 것이 허락되지 않음을 나타낸다면, ‘-을 수 없-’은 사회적 원칙에 따라 불허되는 사태, 논리에 따라 필연적으로 불허되는 사태를 객관적으로 기술한다는 차이를 보인다. “불가능성”을 표현하는 ‘-을 수 없-’은 ‘-을 리가 없-’과 유의 관계를 이룬다. ‘-을 수 없-’이 불가능성을 추측하는 용법으로 쓰일 때에는 ‘내재적 지식/일반적 지식에 근거하여’ 어떤 일의 불가능성을 추측한다는 증거성의 의미 성분도 함께 보여 준다.

This paper aims to elaborate semantic descriptions on the ‘-ul swu eps-’ construction, and clarify the differences between this construction and its relatives, that is, ‘mos’, a negative adverb, and the ‘-ul jwul moru-’ construction. The ‘-ul swu eps-’ construction has three distinctive senses: wanting of the participant’s ability (Inability), wanting of valid circumstances (Forbiddenness), and wanting of the proposition’s realizableness (Unrealizableness). Inability could be a permanent one, a property of the entity in question (Entity Level Inability), or a relatively temporal one, happening at a specific situation (Situation Level Inability). Entity Level Inability can be expressed with the ‘-ul swu eps-’ construction, the adverb ‘mos’, and the ‘-ul jwul moru-’ construction. Of them, the ‘-ul jwul moru-’ construction expresses the Inability caused by ignorance, lack of know-how on the given matter; the ‘-ul swu eps-’ construction expresses Inability without considering whether having the know-how or not; the adverb ‘mos’ has both senses. Situation Level Inability can be expressed only with the ‘-ul swu eps-’ construction, and the adverb ‘mos’; the ‘-ul jwul moru-’ construction can not be used to express Situation Level Inability. Forbiddenness could be brought about by what should be (Should-Be Forbiddenness), as social norms, or else (Non Should-Be Forbiddenness). Non Should-Be Forbiddenness can be expressed with the ‘-ul swu eps-’ construction, the adverb ‘mos’, and the ‘-ki eryep-’ construction: while the adverb ‘mos’ expresses Forbiddenness despite the participant’s willingness, the ‘-ul swu eps-’ construction expresses Forbiddenness objectively without considering whether the participant has willingness or not. Should-Be Forbiddenness can be expressed with the ‘-ul swu eps-’ construction, the adverb ‘mos’, and the ‘-myen an doy-’ construction: as it has been above, while the adverb ‘mos’ expresses Forbiddenness despite the participant’s willingness, the ‘-ul swu eps-’ construction expresses Forbiddenness objectively based on social norms or logical reasonings. Unrealizableness could be expressed by the ‘-ul swu eps-’ construction, or the ‘-ul li eps-’ construction. The two are of synonymous relation. When the ‘-ul swu eps-’ construction is used to express Unrealizableness, other than the Unrealizableness meaning, the expression also delivers the assumed evidential meaning(the assumption is based on general knowledge).

1. 서론
2. 선행연구 검토
3. ‘-을 수 없-’의 의미 1: 불능
4. ‘-을 수 없-’의 의미 2: 불허
5. ‘-을 수 없-’의 의미 3: 불가능성
6. 결론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