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34.104.173
3.134.104.173
close menu
KCI 등재
<진양지(晉陽誌)>에 나타나는 진주의 고지명 고찰(2) - 서면(西面) 중심으로-
A Study on the Place-Names of Jinju in JinYangJi(晋陽誌)(2) : Focused on West-Erea
박용식 ( Park Yong-sik )
영주어문 40권 37-61(25pages)
DOI 10.30774/yjll.2018.10.40.37
UCI I410-ECN-0102-2019-700-001656773

이 글은 1632년 진주에서 간행된 <진양지(晉陽誌)>의 각리(各里)의 수록된 행정 지명 가운데 서면(西面) 지역에 속하는 31里와 1縣 이름의 의미와 전승 양상을 밝히기 위함이다. 이들 지명은 현재 진주시, 산청군, 하동군 지역의 각리 지명을 확인할 수 있는 가장 오래된 자료이다. 특히 임진왜란 이전의 행정 지명 현황이 상세하게 기술되어 있다. 이들 지명은 행정 지명인만큼 행정 구역 개편에 따라 사라지는 경우가 많다. 자연 지명에는 잘 일어나지 않는 현상이다. 특히 일제 강점기인 1914년의 행정 구역 통폐합으로 전통적으로 써 오던 많은 지명이 사라졌다. 지명들은 중국식 한자 지명도 있지만 관련 전래 지명이 전하는 경우 그 뜻을 추정할 수 있는 경우가 많다. 그리고 전승 과정에서 마을 이름을 적는 한자가 바뀌는 경우도 있고 음차인 경우 본래의 뜻과는 다른 뜻으로 인식되는 경우도 있다. 각 마을이름을 한자어와 고유어로 나누면 ‘大坪, 水谷, 矢川, 沙月’ 등은 고유어 지명으로 보았다. 모두 관련 전래 지명이 전하기 때문에 훈차자(訓借字)나 음차자(音借字)라는 공통점이 있다. ‘元堂, 斷俗, 田頭, 三壯’ 등은 중국식 한자어 지명이다. 음차한 지명과 한자 지명은 전승 과정에서 원래의 표의성과 상관없는 다른 한자로 바뀌기도 하고 바뀐 이후에는 새로운 의미로 인식하는 경우도 있었다.

JingYang-Ji(晋陽誌) compiled in 1632, is the local topography of Jinju. It shows many toponyms of old villages. This paper force on the place-name of SeoMyeon(西面). And This paper examines the names of the 32 provinces. It is an article to reveal meaning and tradition of toponyms of old villages. These names are the oldest documents that can confirm the place names of Jinju, Sancheong, and Hadong area. These nominations are often disappearing in accordance with the reorganization of administrative districts. It is a phenomenon that does not occur well in natural place names. Especially, the many traditional place names has disappeared. in 1914, the period of Japanese occupation. Sugokri(水谷里), Sicheonri(矢川里), Daepyeongri(大坪里), Sawolri (沙月里) are semantically adapted Sino-Korean words, Each refers to a ‘village with frequent floods, a straight field like an arrow, a large field, a newly opened field’. Madongri(馬洞里), Gaeuldong(加乙洞), Gagwigok(可貴谷), Osanri (烏山里), Pajiri(巴只里) phonetically adapted Chinese character. It was presumed to be ‘a big village, a divided terrain, a village on a river, a village on a stream, a pants-shaped village’. but it could not be understood clearly. Of the 32 administrative nominations, 12 have remained to date, accounting for 37.5%. Sawolri(沙月里), Bukbangri(北坊里), Samjangri(三壯里), Jonghwari(宗化里)' are still used. And Jamaegokri(子梅谷里) reduces one syllable and changes the Chinese character to Jamaeri(紫梅里). Akyangri(岳陽里), Jeokyangri(赤良里), Sicheonri(矢川里), Sugokri(水谷里), Daepyeongri(大坪里), Pyeonggeori(平居里), Hwagaehyeon(花開縣) have remained as the name of Myeon(面). The number of administrative names not used now is 20, which is 62.5%. Among them, Ihari(籬下里), Odaeri(五臺里), Ungokri(雲谷 里), Seoncheonri(鐥川里), Jindapri(陳畓里), Gaseori(加西里), Mobanggokri(茅房谷里), Donggokri(桐谷里), Jeonduri(田頭里) were used until 1906. And Madongri(馬洞里), Baegokri(柏谷里), Seosindaeri(西申大里), Wondangri(元堂里), Eobaegokri(於背谷里), Pajiri(巴只里), Gagwigokri(可貴谷里), Osanri(烏山里), Gaeuldong(加乙 洞), Chimgokri(針谷里), Dansokri(斷俗里) were used until 1914. Because of the reorganization of administrative districts in 1906 and 1914, many aspects have been merged, and the traditional administrative nomination has disappeared. And In the process of transmission, A few Chinese characters were changed to other Chinese characters not related to the original mark, and after the change, they were recognized as a new meaning.

1. 서론
2. 본론
3. 결론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