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41.24.134
3.141.24.134
close menu
KCI 등재
누스바움의 감정철학으로 바라본 오정희의 「유년의 뜰」 - 혐오, 수치심, 연민을 중심으로 -
「The Garden of Childhood」 by Oh Jeong-Hee in Nussbaum’s Philosophy of Feelings -Focusing on disgust, Shame, and compassion-
김민옥 ( Kim Min-ok )
영주어문 40권 199-232(34pages)
DOI 10.30774/yjll.2018.10.40.199
UCI I410-ECN-0102-2019-700-001656642

본고의 목적은 누스바움의 감정 철학을 연구 방법으로 삼아 오정희 소설 「유년의 뜰」에 나타난 혐오, 수치심, 연민에 대해 살펴보려는 것이다. 기존 연구가 강박, 불안, 히스테리, 퇴행, 집착, 분노, 부끄러움, 슬픔 등과 같은 키워드를 통해 오정희 소설 속인물들의 감정을 해석한 것에서 더 나아가, 혐오와 수치심, 연민이 오정희의 초기 소설의 핵심 감정이라는 점을 밝히려는 시도이다. 누스바움은 그의 감정철학을 통해 감정이 슬픔, 두려움, 기쁨, 희망, 분노, 감사, 미움, 질투, 질시, 동정, 죄의식 등을 종으로 삼는 유개념이며 욕구나 기분, 동기 등과 구분된다는 논리를 펼치면서, 이를 바탕으로 혐오와 수치심, 그리고 연민을 다루는 독특한 시각을 제시하였다. 그가 제시한 혐오와 수치심, 연민의 감정 이론은 오정희 소설에 펼쳐져 있는 수많은 인물의 감정을 보다 면밀하게 분석할 수 있는 틀이 될 수 있기에 본고에서는 이를 원용해 「유년의 뜰」에 나타난 혐오, 수치심, 연민의 감정을 분석하였다. 혐오의 감정은 여성인물을 혐오의 대상으로 인식하는 남성인물의 폭력과 처벌로 구체화되어 나타난다. 누스바움은 혐오가 인간 집단 내부에서 지배와 피지배의 위계질서를 유지하고 이를 강화시키는 역할을 하고 있음에 주목하였는데, 그 이유는 지배집단이 피지배집단의 고유한 속성을 불결하거나 동물적인 것으로 인식함으로써 혐오를 받아 마땅한 대상으로 전락시키기 때문이다. 이런 맥락에서 이 작품에는 여성적 신체에 대한 은유들이 혐오의 대상으로 드러나며, 밤늦도록 귀가하지 않은 어머니와, 오빠의 감시를 피해 읍내로 향하는 언니의 모습을 통해 오빠의 투사적 혐오가 지배적으로 나타난다. 이러한 투사적 혐오는 바람이 난 딸을 감금하는 목수의 모습에서도 찾아볼 수 있는데, 부네를 방에 가두고 문을 잠근 뒤 도덕성의 물리적 연장물로서 기능하는 자물쇠를 채우는 목수의 행위는 도덕성을 어긴, 불결한 몸에 대한 투사적 혐오의 극단적 표출이라고 할 수 있다. 수치심은 부도덕한 모습으로 제시된 여성인물을 바라보는 노랑눈이의 의식과 관련된다. 노랑눈이는 어머니, 언니, 부네 등 부도덕한 몸을 지닌 인물을 통해 여성 존재에 대해 자각을 하게 되는데, 이러한 자각은 부끄러움에서 시작되어 수치심으로 확대되는 양상을 띤다. 뚱뚱하고 노란색의 머리칼을 지니고 있는 자신의 육체, 도둑질, 부도덕한 어머니와 언니의 모습 등은 불완전성과 완벽성이 결여된 상태이기에 노랑눈이의 원초적 수치심을 유발한다. 또 완벽함과 완전무결성이라는 기준을 벗어난 가족들의 행태, 즉 아버지의 부재, 부도덕한 어머니, 폭력적인 오빠, 가족의 공모아래 이루어지는 닭 도둑질 등은 정상이라고 판단되는 범주에서 벗어나 있기에 사회적 성격을 지닌 수치심을 유발하고 있다. 이 작품의 핵심 감정인 연민은 자기연민과 연민의 확장으로 드러난다. 여성 존재들의 모습에서 미래의 자신의 모습을 투영한 결과 노랑눈이는 자기연민에 이르는데, 여기에는 누스바움이 이야기하는 연민의 세 가지 인지적 요소 중 크기에 대한 판단, 그런 일을 당해서는 안 된다는 판단이 작용하고 있다. 이러한 자기연민은 거울을 마주하고 선 노랑눈이가 눈물을 흘리는 모습에서 극명하게 드러난다. 이때 노랑눈이가 느끼는 감정은 앞으로 펼쳐질 자신의 삶이 어머니나 언니의 삶과 크게 다르지 않을 것이라는 판단이 내재되어 있는 자기연민이라 할 수 있다. 노랑눈이는 자신의 삶역시 그들과 비슷하게 될 가능성이 있다는 인식을 하고 있는 것이다. 이런 자기연민은 연민의 확장으로 이어지는데, 노랑눈이는 부네를 자기 관심권의 일부로 포함시키면서 상상을 통해 부네의 고통에 공감하고 슬퍼한다. 노랑눈이가 부네라는 인물에 대해 상상하면서 고통을 느끼는 것은 자기연민이 타자에 대한 연민으로 확대되는 양상을 띤 것이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feelings like disgust, shame, and compassion shown in a novel, 「The Garden of Childhood」 by Oh Jeong-Hee by applying Nussbaum’s philosophy of feelings. Compared to the existing researches aiming to interpret the feelings of the characters in Oh Jeong-Hee’s novel as sorrow, shame, and anger through the key words such as compulsion, anxiety, hysteria, regression, and obsession, this study attempts to reveal that the disgust, shame, and compassion are the core feelings of initial novels by Oh Jeong-Hee. Based on the logic that feelings would be separated from desire, mood, and motive, Nussbaum suggested his own characteristic philosophy of feelings of disgust, shame, and compassion. This philosophy of feelings, suggested by Nussbaum could be a frame to more closely analyze feelings of numerous characters in Oh Jeong-Hee's novels. The feeling of disgust is materialized as violence and punishment of male characters cognizing female characters as the objects of disgust. Nussbaum paid attention to the fact that the disgust was playing a role in maintaining and strengthening the hierarchy of ruling and being ruled inside of human groups because the ruling group degraded the ruled into objects that would deserve disgust, by perceiving the characteristic attributes of theirs as something unclean or brutal. Under this context, in this work, the metaphors of feminine body is revealed as an object of disgust, and especially, through the look of a mother who does not come back home late at night or the look of an elder sister going to downtown to avoid her elder brother’s surveillance, the elder brother’s projective disgust is dominantly shown. Moreover, this projective disgust is also shown in the look of a carpenter who puts her daughter having a love affair in hold. The carpenter’s behavior of locking up Bune in a room, which is working as a physical tool of morality, could be an extreme expression of projective disgust against unclean and immoral body. The feeling of shame is related to the consciousness of the yellow-eyed viewing female characters suggested as immoral looks. Through the characters with immoral body such as mother, elder sister, and Bune, the yellow-eyed initially realizes beings of women, and this realization is expanded from shyness to shame. All the looks like her own fat body with yellow hair, theft, and immoral mother and elder sister are lacking in perfection, which arouses the basic shame in the yellow-eyed. The family members' behaviors getting out of the standard of absolute perfection, such as absence of father, immoral mother, violent elder brother, and chicken theft in family's conspiracy are not in the category judged as normal, so that the shame of social nature is aroused. As a core feeling of this work, the compassion is revealed as self-compassion and the expansion of compassion. In the results of projecting her future look onto the looks of female beings, the yellow-eyed reaches self-compassion, and here, out of the three cognitive elements of compassion mentioned by Nussbaum, the judgment of size and the judgment that it should not happen are applied. This self-compassion is clearly shown in the look of the yellow-eyed with tears, standing in front of a mirror. At this time, the feeling felt by the yellow-eyed would be the self-compassion including the judgment that her own future life might not be much different from the lives of her mother, elder sister, and Bu-Ne. The yellow-eyed realizes that her life could be similar to theirs. This self-compassion is led to the expansion of compassion. The yellow-eyed empathizes with and feels sad about Bune’s pain through the imagination by including Bu-Ne in a part of her interest. When the yellow-eyed imagines the character of Bu-Ne and feels pain, the self-compassion is expanded to compassion for others.

1. 들어가는 말
2. 폭력과 혐오
3. 부도덕함과 수치심
4. 징벌과 연민
5. 나오는 말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