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33.109.211
3.133.109.211
close menu
KCI 등재
재북시기 신고송 문학과 통일문학의 전망·1 - 신고송의 아동극집 『새나라의 어린이』(조선인민출판사, 1948)를 중심으로
North Korea empire period Sin, Go-Song's Literature And Prospect of Unification Literature - Focus on Sin, Gosong’s children’s Play Books 『children of new country』 (The Joseon the people publisher, 1948)
김봉희 ( Kim Bong-hee )
영주어문 40권 233-268(36pages)
DOI 10.30774/yjll.2018.10.40.233
UCI I410-ECN-0102-2019-700-001656475

본 연구는 남북의 통일문학사의 입장에 서서 신고송의 아동극집 『새나라 어린이』(조선인민출판사, 1948)를 세심하게 고찰하였다. 그의 아동극집은 ‘고상한 사실주의’에 중점으로 형상화된 대본으로 북한체제 건설기의 대표적 아동극집이다. 그의 아동극집속에서는 북한의 교육관을 토대로 하여 체제 이념을 아동문학에 적용시키는 과정을 살펴 볼 수 있다. 첫째, 아동극 속에 등장하는 아동들은 사회주의 이념으로 무장을 하고 사회주의 찬양에 앞장서는 실천하는 아동상을 구현하고 있다. 둘째, 나라잃은 시기 일제의 수탈에서 벗어나 새로운 사회주의 국가에 대한 밝은 기대를 가지고 있는 희망의 아동상을 상징적으로 표현하고 있다. 셋째, 민족투쟁의 역사를 바탕으로 일제잔재와 남아있는 부정적인 대상에 대항하는 투쟁하는 아동상을 제시하고 있다. 넷째, 동화극을 통해서 북한 아동들에게 옳고 그름을 명확히 할 수 있는 바른 인성의 아동상을 구현하고 있다. 한편, 신고송의 아동극집에서 남북한 아동문학에서 구현하는 유사성을 찾을 수 있다. 첫째, 식민지 상황에 대한 극복이라는 인식의 출발점이다. 둘째, 특수한 아동문학의 특성을 살려 그들의 세계관을 지켜주고자 노력했다. 앞으로 북한문학 연구에 생산적인 새 담론 구성의 계기를 마련할 수 있는 일은 정밀한 분석이 뒤따라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재북시기 신고송의 문학 활동을 꼼꼼히 살피는 일은 신고송의 개인적 문학 연속성을 구명할 뿐 아니라 북한 문학사를 깊게 이해하는 데 이바지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carefully considered Sin, Go-song’s children’s Play Books 『children of new country』 (The Joseon the people publisher, 1948) from the perspective of the History of Literature in Unified Korea. His Play Book is representative Play Book is a script embodied mainly on ‘Nobel Realism’ in the construction of the North Korean regime. In his Play Book, it shows the process of applying North Korea’s ideological system to his children’s literature based on North Korea’s educational philosophy. First, children appearing in the children’s play are embodying the image of children armed with socialist ideology and leading and practicing praising socialism. Sencondly, it symbolically expresses the children's image of hope, which has a bright expectation for a new socialism country out of Korea under the Japanese Rule period. Third, based on the history of the national struggle, it represents the image of children struggle against the remaining vestiges of Japanese imperialism and the negative object. Fourth, through the play for children, it embodies the children’s image of right personality which means they are able to clarify right or wrong to North Korean children. On the other hand, similarity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n can be found in Shin Go-song’s children’s play book. First, it is the starting point of recognition that overcoming colonial situation. Second, it tried to protect their view of the world by taking advantage of the special characteristics of children's literature. In the future, it will be necessary to carry out a precise analysis in order to create a productive new discourse in the study of North Korean literature. Therefore, in this study, a thorough examination of Shin Go-song’s personal literary activity in North Korea empire period will contribute not only for the continuity of individual literatures, but also for the deeper understanding of the history of North Korean literature.

1. 들머리
2. 북한 초기 아동문학 환경과 신고송의 아동극집 『새나라의 어린이』
3. 『새나라의 어린이』에 나타난 아동상과 그 의미
4. 마무리-통일문학의 전망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