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37.185.180
3.137.185.180
close menu
KCI 등재
조선박람회 전시관 양식에 보이는 제국과 식민지, 수도와 지방
The Juxtaposition of “Empire and Colony” and “the Capital and the Provinces” in the Styles of the Exhibition Halls of the Joseon Exposition in 1929
염복규 ( Yum Bok-kyu )
인문논총 75권 4호 129-162(34pages)
UCI I410-ECN-0101-2019-000-001003766

이 논문의 목적은 1929년 개최된 조선박람회의 전시관 양식을 중심으로 박람회의 코드를 읽어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 논문에서는 그것을 ‘제국과 식민지’, ‘수도와 지방’의 키워드로 읽었다. 조선박람회는 식민통치 중기의 시점에 개최된 행사로서 전반적으로 조선색이 두드러진 박람회였다. 물론 여기에서 조선색은 식민통치의 토착화를 뜻하는 것이다. 조선박람회의 조선색은 조선총독부가 설치한 직영관 양식에서 많이 보인다. 그것은 전시관의 건축 양식이 조선식이라는 점으로 드러나기도 했다. 또 전시물의 설명 등이 조선인이 이해할 수 있는 표기법이라는 점으로 드러나기도 했다. 다음으로 일본과 조선의 각 지역, 단체에서 설치한 특설관의 양식은 보편적인 모던풍, 지역색이 두드러진 양식, 무국적적 이국풍의 세 가지로 나누어진다. 대체로 물산이 풍부하고 지역세가 강한 경우 모던풍을 채택했다. 반면에 지역세가 약한 경우 로컬 컬러가 짙은 전시관 양식을 채택했다. 이도 저도 아닌 이국풍의 전시관도 적지 않았다. 이런 조선박람회의 다면적 코드는 제국 일본 권역 속의 식민지 조선의 다면적 지위, 제국 도시의 위계 속의 식민지 수도 경성의 유동적 지위를 반영한다.

This research aims to analyse the styles of exhibit halls at the Joseon Exposition in 1929 by the codes of “empire vs colony” and “the capital vs the provinces.” The Joseon Exhibition, held in the middle of colonial period, was characterized by adopting a “Joseon color,” which, in effect, reflected localized colonial governance. The Joseon color stood out especially with traditional Korean features of architecture that adorned the Government-General’s own exhibit hall. Also, the exhibits were displayed along with easily understandable explanations to colonists. On the other hand, special halls of varied local groups or other organizations were built in largely three styles: universal and modern, of strong local color, and of exoticism with no specific origin. In most cases, local communities with abundance in produces and character preferred modernity, while those with less prosperity stressed local color in styles of their exhibition halls. The rest adopted more unidentifiable exotic styles. These juxtapositions of conflicted codes shown at the Joseon Expo reflected the multifaceted status of colonial Joseon within the boundaries of the Japan Empire as well as the unstable status of the colonial capital Gyeongseong in the hierarchy of Japanese imperial cities.

1. 머리말
2. 조선박람회의 공식적 컨셉, ‘조선색’의 실제와 의미
3. 보편적 근대와 로컬 컬러의 공존, 특설관 양식의 다면성
4. 맺음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