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42.12.240
3.142.12.240
close menu
KCI 등재
시지각 정보와 기억의 상관성 연구 -게슈탈트 시지각 법칙에 기반한 Brand Design Memory Model 제안 및 적용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relation between visual perception and memory -Focusing on the suggestion and application of brand design memory model based on Gestalt’s law of visual perception -
김세미 ( Kim Se-mi ) , 손원준 ( Son Won-jun )
한국디자인포럼 61권 45-54(10pages)
UCI I410-ECN-0102-2019-600-001693493

연구배경 본 연구는 시지각 정보가 인간의 기억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이다. 복잡하고 난해한 시각적 요인을 보다 간결하고 명료하게 인지하려는 데서 인간의 본질적 인식체계를 설명하고 있는 게슈탈트 시지각 법칙은 복잡한 시각적 요소를 단순화하여 표현하는 심볼마크와 상관성이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연구방법 시지각 정보에 대한 기억도 실험결과를 통해 심볼마크 시지각 기억모델을 제시하고 실제 디자인에 적용하여 기억모델의 활용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게슈탈트 시지각 법칙이 비 법칙보다 회상률이 더 높게 나타났고 장기기억에서 높은 회상률을 보였다. 또한 유사성의 원리가 적용된 심볼마크의 유형이 단기기억에 유리하였고 장기기억에서는 전경과 배경관계의 법칙이 적용된 심볼마크 유형이 유리하게 작용하였다. 이를 토대로 ‘BDMG프로세스 모델’을 개발하여 제시하였으며, 실제 활용되는 심볼마크를 본 연구의 모델에 적용하였다. 도출된 최종안으로 기억의 효과성을 검증하였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시지각 정보와 기억이 세분화된 특징에 따라 상관관계가 있음을 밝힐 수 있었으며, 인간의 지각적 특성은 부분적인 것보다 전체적인 것을 더 쉽고 오래 기억하려는 경향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브랜드 디자인에서 그 적용점 및 활용방안을 모색함에 있어 본 연구의 의의를 가진다.

Background This study is a study on the effect of visual information on human memory. It is expected that Gestalt visual laws, which explain the human's intrinsic cognition system in the more concise and clear recognition of complicated and difficult visual factors, are likely to be correlated with the symbol mark which simplifies complex visual elements. Purpose It is designed through the test results to suggest the symbol mark’s visual perception memory model and applies it to the actual design in order to verify the utility of the memory model. Result It was found that Gestalt’s law of visual perception was higher than non-law with respect to the remember rate and that it was higher in the long-term memory.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symbol mark type applied with the principle of similarity was advantageous to the short-term memory while in the long term memory, the symbol mark type applied with the law of figure-ground relationship acts more advantageous. Based on this, the “BDMG process model” was developed and suggested and the symbol mark which was actually used was applied to the model of this study. The derived final option was used to verify the memory’s effect. Conclusion It could be found out in this study that the visual perception information and the memory are related depending on the segmented characteristics and that the human’s perception tends to be easier and go longer when it is the total one rather than the partial one. In addition, this study has implication as it can be applied and used in the brand design.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실증연구
4. 게슈탈트 시지각 법칙에 기반한 Brand Design Memory Model 제안
5. Brand Design Memory Model에 따른 디자인 개발 및 검증
6 결론 및 제언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