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33.156.156
3.133.156.156
close menu
KCI 등재
중장년층 핵심자기평가가 퍼스널 이미지메이킹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Core Self-Evaluation on Personal Image Making of the Middle Aged and Elderly Individuals
김영희 ( Young-hee Kim ) , 황진숙 ( Jin-sook Hwang )
한국디자인포럼 61권 67-81(15pages)
UCI I410-ECN-0102-2019-600-001693337

연구배경 우리나라 생산인구의 핵심층인 중장년층의 지속적인 사회활동과 자기 이미지관리를 위하여 핵심자기평가에 따른 퍼스널 이미지메이킹의 차이와 퍼스널 이미지메이킹의 구성요소를 파악해 보고자 함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전국 거주의 40∼64세의 중장년층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하였고, 최종 800명을 결과 분석에 사용하였으며, 분석방법은 SPSS 24.0 프로그램을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퍼스널 이미지메이킹의 하부요소는 정신적, 신체적, 사회적 이미지메이킹으로 분류되며, 정신적 이미지메이킹은 자기성향관리, 긍정적사고의 하위요인으로, 신체적 이미지메이킹은 패션관리, 용모관리, 체형관리, 미용성형관리의 하위요인으로, 사회적 이미지메이킹은 매너관리, 표정관리, 화법의 하위요인으로 도출되었다. 둘째, 중장년층의 자기효능감, 자아존중감, 내적통제, 신경증의 가장 근원이 되는 자기 평가적 개인특성은 자아존중감으로 확인되었다. 결론 본 연구는 퍼스널 이미지메이킹 개념의 정립과 하부요인 척도 개발에 학문적 의의가 있으며, 연구결과는 중장년층 대상의 인적자원 개발을 위한 교육 훈련과 이미지메이킹 관련 산업에 기여할 것이라 사료된다.

Background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of personal image making according to core self-evaluation and to identify the components of personal image making for self-image management of middle aged and elderly individuals. Methods This study was conducted a survey for the middle aged and elderly individuals between 40 and 64 in Korea. The final 800 respondents were used for the analysis of results using SPSS 24.0 program. Result First, the sub-elements of Personal Image Making were classified as Mental, Physical, and Social Image Making. Mental Image Making was classified into Self-Inclination Management and Positive Thinking. Physical Image Making was divided into Fashion Management, Appearance Management, Body Shape Management, and Cosmetic Surgery Management. Social Image Making consists of Manner Management, Facial Expression Management and Speech. Second, the most original, self-rated personal characteristics among Self-Efficacy, Self-Esteem, Internal Control, and Neurosis in middle-aged people were found to be Self-Esteem. Conclusion This research has academic significance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the concept of personal image making and the development of the sub-factor scale. The results will help enterprises educate and train the middle aged and elderly individuals for developing human resource and contribute to the industries that need image making.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방법 및 절차
4. 결과 및 논의
5.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