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119.131.178
18.119.131.178
close menu
KCI 등재
「と思う」の用法に関する記述的研究 -名詞述語文を中心に-
Study of the usage of Japanese verb “to-omou” used in the noun predicate sentences
타카하시미호 ( Takahashi Miho )
UCI I410-ECN-0102-2019-800-001642689

본고는 명사술어문과 공기하는 「と思う」에 관하여 문의 의미적 타입과 용법을 고찰하였다. 추량용법에서는 명사술어문이 의미론적으로 동사술어문과 비슷하여 직접확인을 하지 않았기 때문에 추량을 나타내는 동사술어문과의 공통적인 추량용법을 볼 수가 있었다. 전형적인 명사술어문과 공기하는 예문의 수가 적었고, 그런 예문에서는 「と思う」가 추량에서 불확실함을 나타내는 용법으로 이행하고 있었다. 비추량용법에서는 주관적인 평가를 나타내는 형용사가 쓰인 형용사술어문에 가까운 명사술어문이 사용되고 있었고, 「と思う」가 없어도 문의 무드가 바뀌지 않고 개인적 의견으로 듣는 사람에게 부드럽게 전달되는 효과를 가지고 있었다. 즉 명사술어문과 같이 쓰이는 「と思う」의 용법에서는 인식에 관한 것(추량), 화자의 불확실함, 전달에 관한 것, 총 3가지의 연속된 용법을 볼 수 있었다.

This paper aims at considering the usage of "to-omou" with noun predicate sentences, which have the inferred usage and not-inferred one. First, there are several types of the noun predicate sentences which are co-occurred with the inferred usage of “to-omou”. Secondary, the memory regeneration usage is unable to replace with ”darou“, however, it has the same features with the inferred usage. Therefore, in this paper the memory regeneration usage is one of the inferred usage. Thirdly, when the nou predicate sentence refers to constant event, its usage is mixed with inference and speaker’s uncertainty. Finally, the non-inferred usage has adjectives which express the subjective evaluation of the speaker in the noun predicate sentence, and there is no semantical difference with the sentence without ”to-omou“. However,”to-omou“ is necessary in terms of transmission, which suppress the strength of the speaker's assertion. "to-omou" occurred with the noun predicate sentence has a wide range of meanings and functions, such as judgement of inference , speaker’s uncertainty, and suppression of the speaker’s assertion, communication and an actual verb.

1. はじめに
2. 先行研究と本稿の立場
3. 「と思う」の意味と機能
4. おわりに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