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222.115.179
18.222.115.179
close menu
KCI 등재
日韓両国の同性間の日常会話における「同意・共感」の相互行為 - ジェンダー差を中心に-
‘Agreement/Empathy’ interaction in Korean and Japanese same-sex conversation between friends with a focus on gender differences
장윤아 ( Jang Yun-ah )
UCI I410-ECN-0102-2019-800-001642225

본 연구에서는 한일 양국 동성친구간의 일상적인 대화에서 「동의·공감」의 발화가 어떻게 사용되고 있는지를 상호행위 레벨에서 분석하고 그 사용양상을 젠더차의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A)「동의·공감」발화의 사용빈도는 한일 모두 남성간의 대화에 비해 여성 간의 대화에서 사용빈도가 높았다. (B) 단독적인「동의·공감」의 사용비율은 남성간의 대화가 높았고, 상호적인「동의·공감」의 사용비율은 여성간의 대화에서 보다 높게 나타났다. (C) 남성간의 대화에서 「동의·공감」은 한 명의 화자에 의해 단발적으로 발화되는 경향이 있고, 「동의·공감」발화의 수신자는 상대와의 공통기반을 확인한 후, 그대로 대화를 전개시키는 경향이 강했다. (D) 여성간의 대화에서 「동의·공감」은 한 명의 화자에 의해 연사적으로 발화되는 경향이 있으며, 두 명의 대화 참가자가 「동의·공감」의 발화를 서로 쌓아가며 대화를 전개시키는 상호행위가 이루어지는 경향이 있다. 「동의·공감」의 상대사용빈도와 상호행위 패턴에 나타나는 젠더차이는 상호행위 속에서 남녀가 「동의·공감」의 발화를 어떠한 수단으로 사용하고, 「동의·공감」발화를 어떻게 해석하고 있는지에 대한 차이와 깊게 관련된다고 볼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utterances which express‘Agreement/ Empathy’ in Korean and Japanese same-sex conversation between friends. I have found the following similarities and gender differences. (A) Comparing the frequency of usage: Both Japanese and Korean women tend to use more ‘Agreement/Empathy’ utterances then men do. (B) Comparing the proportions of usage: In Japanese and Korean men’s conversation, the proportions of single speaker expressing ‘Agreement/ Empathy’ were higher then women’s conversation. In the other hand, in Japanese and Korean women’s conversations, the proportions of both speakers producing ‘Agreement/Empathy’ were higher then men’s conversation. (C) Comparing the interactions: Both Japanese and Korean men tend to express ‘Agreement/Empathy’ only once and addressees who affirmed the common ground tend to developed conversation without showing any response. (D) Comparing the interactions: Both Japanese and Korean women tend to repeat their ‘Agreement/Empathy’ utterances and women tend to developed conversation by adding ‘Agreement/Empathy’ utterances to what previous speaker has said. The gender differences in frequency of usage and interaction patterns of ‘Agreement/Empathy’ show that there may be different norms and different way of usage for men and women.

1. はじめに
2. 先行研究と研究目的
3. 調査概要と分析方法
4. 分析結果
5. まとめと今後の課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