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41.152.173
3.141.152.173
close menu
KCI 등재
제주 4·3사건을 기억·재현하는 또 하나의 방식 -다큐멘터리 <비념>을 중심으로-
Another Method for Remembering and Representing the Jeju April 3 Incident - Focusing on the Documentary Film “Jeju Prayer” -
조명기 ( Cho Myung-ki )
인문과학 71권 97-132(36pages)
DOI 10.31310/HUM.071.04
UCI I410-ECN-0101-2019-000-001001919

이 글은 다큐멘터리 <비념>을 텍스트로 삼아 그 구조를 분석함으로써, 4·3사건에 대한 기억을 환기하는 데 있어 현재와 과거가 상호 충돌하거나 개입하면서 조우하는 양상 그리고 주제의식으로 수렴되는 과정을 살피고자 하였다. <비념>은 영화 자체가 비념(굿)이면서 순례·다크투어다. 영화는 비념(굿)의 과정과 순례·다크투어의 과정을 부조화되게 동시에 중층적으로 구성함으로써 두 과정의 충돌과 교차를 반복한다. 이를 통해 진정한 애도작업은 애도 주체의 현재적 시선에 의해 끝없이 계속될 수밖에 없게 되고, 4·3사건은 현존과 부재 사이에 위치하여 동일하지도 소멸되지도 않을 기억, ‘사건’으로 보존된다. 4·3사건을 ‘사건’으로 명명하면서 적극 호출하는 장소는 제주 해군기지가 건설되고 있는 강정마을 특히 구럼비 바위이다. 카메라는 강정마을을 찬성파와 반대파로 구분해내는 외지인보다는 여전히 침묵하고 있는 4·3사건 피해자에 주목함으로써 순례·다크투어와 비념(굿)의 교차점을 현재화하고 4·3사건의 현재적 의의를 풍성하게 만들어낸다. 비념(굿)과 순례·다크투어라는 두 장치를 통해, 상이한 두 존재 즉 외부인·순례자와 4·3사건 생존자는 상호 침투하면서 현재화·상상력의 작동이 가능한 존재가 되고 있다.

This study will examine how the past and the present collide with each other or encounter by intervening in the opposite entity and how the two can converge on the thematic consciousness of the Jeju April 3 Incident by analyzing the documentary film “Jeju Prayer (2012)” as a text dealing with the memory of the historic incident. The film “Jeju Prayer” is not only a prayer (exorcism) but also a pilgrimage/dark tour. The film repeats the collision and intersection of the two processes by constructing the process of prayer (exorcism) and the process of pilgrimage/dark tour incongruously and in a multi-layered level simultaneously. Through this, the real task of mourning cannot but ceaselessly and continuously be carried out by the present gaze of the agent of mourning, and the Jeju April 3 Incident is preserved as an ‘event’ that would neither be the same nor extinct, located between presence and absence. A place that is actively summoned as it names the Jeju April 3 Incident ‘an event’ is Gangjeong Village, in particular, Gureombi Rock, where Jeju-do Naval Base is being constructed. The camera pays attention to the victims of the Jeju April 3 Incident, who still keep silence, rather than the outsiders who characterize Gangjeong Village into a place where the pros and cons opinions exist over the issue, and thereby enriches the cross point of pilgrimage/dark tour and prayer (exorcism), thus reawakening the present meaning of the incident. Through the two devices of prayer (exorcism) and pilgrimage/dark tour, the two different beings ― outsider/pilgrim and the survivors of the Jeju April 3 Incident ― interpenetrate each other and become the beings that can produce the present anew and can create imagination.

Ⅰ. 머리말
Ⅱ. 비념과 순례·다크투어, 과거화와 현재화의 교차
Ⅲ. 침묵의 현재형과 자기반성적 추체험
Ⅳ. 맺음말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