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2.15.71.15
52.15.71.15
close menu
KCI 등재
스마트폰 메신저의 표현 양상과 인식 -설문조사를 중심으로-
Comparison of Expressive Aspect and Perception in Smartphone Messenger -Focused on Questionnaires-
박은하 ( Park Eunha )
새국어교육 117권 83-118(36pages)
UCI I410-ECN-0102-2019-700-001670464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이용이 불가한 자료입니다.

본 연구는 스마트폰 메신저에서의 표현 양상이 어떠한지와 성별 및 연령에 따른 표현과 인식에 차이점이 있는지를 설문조사를 통해서 조사·분석하였다. 첫 번째 영역에서 피조사자들은 종결 형태로 ‘문장형’과 ‘명사형/명사’를 주로 쓰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연령 및 성별에 따른 표현의 차이를 20대와 여성에게서 조금 느끼는데 표현 양상은 연령에 따라 신조어/유행어에서, 성별에 따라 이모티콘에서 다르게 사용한다고 하였다. 두 번째로, 감탄사는 ‘헐’, 문장부호는 ‘느낌표’, 두문자는 ‘ㅇㅋ’, 이모티콘은 얼굴 표정형 이모티콘, 신조어/유행어와 줄임말은 ‘갑분싸’, 비음은 ‘넹’, 지역어는 경상도 방언, 비속어는 ‘ㅅㅂ’, 그리고 의성어/의태어는 ‘ㅋㅋ, ㅎㅎ’가 가장 비율이 높았다. 마지막 영역에서 명사형과 이모티콘과 같은 종결 형태는 ‘20-30대’ 성별 ‘모두’가 사용하는 것으로, 문장부호/두문자와 비속어/욕은 연령에서는 둘 다 20대이지만 성별에서 각각 여성과 남성으로 다르게 나타났다. 감탄사와 의성어/의태어는 20-30대여성이, 비속어/욕은 주로 40-50대 남성이 사용하는 것으로 여겼다.

The study is aimed at investigating the characteristics of expressions and comparing differences in expressions and perceptions by way of a questionnaire when communicating in writing on the smartphone-based mobile messenger service. The results show that the respondents mainly used “sentence type” and “noun type/noun”. They responded that they perceived differences in expression according to age and sex. Expression patterns in the form of emotions were used differently according to sex, in neologisms(newly coined words) and buzzwords according to age. Second, “heol” as exclamation, “exclamation mark(!)” as punctuation marks, “ㅇㅋ” as acronym. “facial emoticons” as emoticons, “gapbunssa” among new words/buzzwords and abbreviations, “넹” as nasal sound, “~노(Kyeongsang dialect)” in the local language, “ssibal(fuck)” among profane words, and expressions of laughter such as “ㅋㅋ, ㅎㅎ” as onomatopoeia/mimetic words are the most commonly cited expressions among the various answers. Thir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final section of the questionnaire, terminologies such as nouns and emoticons were used by both genders in the 20-to-30 years age group. Punctuation marks/acronyms and profanities are both used in the 20s age group, but they differ in gender from female to male. Among the respondents, 20-to-30-year-old women indicated that they used onomatopoeia/mimetic words, and 40-to-50-year-old men used profane words.

1. 서론
2. 선행 연구 및 연구 방법
3. 연구 결과
4. 결론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