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22.51.241
3.22.51.241
close menu
KCI 우수
공공임대주택 거주에 따른 정신건강 변화에 관한 연구 - 성향점수매칭 및 이중·삼중차이 분석을 중심으로 -
Mental Health Change Among Public Housing Residents: Using Propensity Score Matching, Difference-in-Difference, and Difference-in-Difference-in -Difference Methods
한수정 ( Hee-jung Jun ) , 전희정 ( Soojeong Han )
UCI I410-ECN-0102-2019-300-001101680

본 연구는 공공임대주택 거주에 따른 거주자들의 정신건강의 변화를 살펴보고자 한다. 일반적으로 공공임대주택의 입주를 선택하는 개인은 시장에서 보다 더 나은 주거의 질, 주택비 절약, 주거안정성 향상 등의 긍정적인 영향을 기대하며 입주를 선택한다. 그러나 공공임대주택의 거주는 사회취약계층의 밀집으로 인한 지역슬럼화, 사회적 배제, 심리적 차별 등의 문제가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즉 공공임대주택 입주 초기에는 주거안정 등의 기대를 가지고 입주하지만, 거주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그 기대효과가 줄어들고 새로운 문제에 직면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의 질문은 “거주기간에 따른 공공임대주택 거주자의 정신건강은 차이가 있는가?”이다. 본 연구질문에 답하기 위해 ‘한국복지패널’ 제 4차, 8차, 12차 자료를 활용하여 성향점수매칭과 이중차이·삼중차이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공임대주택 단기 거주집단은 비거주집단에 비해 정신건강에 긍정적인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장기 거주집단에서는 오히려 부정적인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여성은 남성에 비해 공공임대주택 거주로 정신건강에 긍정적인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장기간 거주한 경우 정신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65세 이상 거주집단은 비거주집단에 비해 공공임대주택에 단기간 거주한 집단의 경우 정신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나, 장기간 거주한 집단에서는 긍정적인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50세 미만의 비고령층의 경우, 공공임대주택 거주집단은 비거주집단에 비해 정신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나타났으며, 장기간 거주 시 더욱 부정적인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와 같은 분석결과를 토대로 공공임대주택 정책 및 거주자들의 정신건강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들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mental health change among public housing residents. While public housing meets the housing needs of low-income households, it also results in problems such as slumming, social exclusion, and stigmatization. These problems can lead to mental health change among public hosing residents over time. In this regard, we ask if there is a difference in mental health among public housing residents depending on residence period. We analyzed the 4th, 8th, and 12th Korea Welfare Panel Study Data and used Propensity Score Matching, Difference-in-difference, and Difference-in-difference -in-difference methods. The empirical results as follows: first, overall, there is a positive effect on mental health among public housing residents who lived in a shorter period while there is a negative effect on mental health among public housing residents who lived in a longer period; second, there is a positive and negative effect on mental health for the women and men, respectively, who lived in a shorter period while there is a negative effect on mental health for both the women and men who lived in a longer period; third, there is a positive effect on mental health for the elderly who lived in a longer period while there is a negative effect on mental health for the elderly who lived in a shorter period; and fourth, mental health among the non-elderly who lived in public housing in a shorter period got worse and it was further aggravated after living in public housing in a longer period.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검토
Ⅲ. 연구방법
Ⅳ. 분석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첨부 1 > 프로빗(probit) 분석결과:12차_8차
<첨부 2> 프로빗(probit) 분석결과:12차_4차
<첨부 3> 매칭 된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성향점수 분포: 12_8차 & 12_4차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