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49.250.1
3.149.250.1
close menu
KCI 우수
근로자 퇴직급여 수급권 강화 제도의 정책적 효과 - 제도화 압력을 중심으로 -
Effect of Employee Retirement Benefit Protection Policy: In light of Institutional Theory
김봉환 ( Bong Hwan Kim ) , 이제복 ( Jae Bok Lee ) , 한승엽 ( Seung-youb Han )
UCI I410-ECN-0102-2019-300-001101468

본 연구는 제도화 이론에 근거하여 법으로 추진된 근로자 퇴직급여 수급권 강화 정책(퇴직연금제도 도입 및 최소 사외적립 기준 상향 조정)이 강제적 압력(coercive pressure)으로서 수급권 보호를 위한 사외적립률 제고에 실질적으로 기여하는지, 그리고 그러한 정책적 효과가 중소기업과 대/중견기업 간에 차별적으로 나타나는지 분석한다. 이를 위해 기업 내부 요인의 영향을 통제한 후의 순수 외부 정책 효과를 분석할 수 있도록 패널데이터에 기반한 패널분석(panel analysis)을 실시한다. 분석 결과 대/중견기업보다는 중소기업을 중심으로 사외적립률 제고라는 소기의 정책적 효과가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된다. 다만,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이러한 효과가 사라지는 등 기존 정책이 한계를 보이는 경향도 함께 관측된다. 본 연구는 근로자 수급권 강화 정책이 제도적 압력으로서 실질적인 효과가 존재하며, 그 효과가 기업 규모별로 상이하다는 실증증거를 제공한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기업별 상황을 고려한 세부 가이드라인 마련 필요성 등 향후 퇴직급여 정책 설계를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한다.

This study investigates whether a series of employee retirement benefit protection policies so far (i.e., introduction of retirement pension system in 2006 and stepwise increase in minimum external funding ratio in 2012/2014/2016) contribute, as coercive pressure in light of institutional theory, to enhancing firms’ external funding ratio, a key element for employee retirement benefit protection, and whether such policy effect varies across small-and-medium versus large businesses. To answer the research questions, we conduct panel regression analysis, utilizing a panel data from 2004 to 2016, and estimates policy effect from which confounding impacts of other internal factors are eliminated. We find that, overall, the policy actions a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firms’ external reserve ratio, indicating the governmental efforts to protect employees’ retirement benefit have attained the expected outcome, and that the effect is centered mostly on small-and-medium business. However, we also find that the incremental effect tends to decay over time and even disappear in a recent period, revealing limitation of the existing policy tools. Taken together, we provide empirical evidence that the employee retirement benefit protection policy is largely effective but that the effect differs, dependent on firm size. These findings suggest policy implications for future policy design such as the need to prepare more specific guidelines tailored to individual firm’s situation.

Ⅰ. 서론
Ⅱ. 우리나라 퇴직연금제도
Ⅲ. 선행연구
Ⅳ. 분석모형
Ⅴ. 분석 결과
Ⅵ. 결론
【참고문헌】
<부록 1> 변수 정의
<부록 2> 확정급여부채 추정 결과
<표 7> 확정급여부채 추정을 위한 패널분석 결과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