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9.30.232
3.19.30.232
close menu
KCI 우수
‘산학일체형 도제학교’ 정책에 참여한 특성화고 학생들의 경험과 의미 구성 - 해석학적 정책분석 -
Construction of Experience and Meaning by Participants in the Korean Apprenticeship Program for Vocational High-school Students: Interpretive Policy Analysis
김상태 ( Sang-tae Kim )
UCI I410-ECN-0102-2019-300-001100421

본 연구는 박근혜 정부에서 도입된 ‘일학습병행제’ 중 특성화고 재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산학일체형 도제학교’ 정책을 해석학적으로 분석하였다. 일학습병행제는 독일과 스위스의 도제훈련제도(apprenticeship)를 도입한다는 취지로, 2014년에 시작되어 3년만인 2017년에는 예산이 4,799억원으로 증가했다. 186개 특성화고에서 7,969명의 학생들이 산학일체형 도제학교 정책에 참여하여 2학년부터 기업에서 ‘도제교육’을 받고 있다. 정부는 현장훈련을 통해 기술을 습득하고 기술인으로서 성장한다고 주장한다. 본 연구자는 도제학교에 참여 중인 2개 특성화고 33명의 3학년 학생과 개별 면담을 실시하였다. 이들이 실제현장훈련에서 무엇을 경험하고 그 경험을 어떻게 해석하는지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대부분의 학생들은 기업에서 단순반복 작업에 ‘투입’되고 있으며, 자신들의 경험을 ‘아르바이트’나 ‘미리 사회생활을 하는 것’, ‘버티기’ 등으로 해석했다. 많은 학생들이 도제학교에 참여하면서 기대했던 현장훈련이 이루어지지 않음에 따라 갈등을 느끼고 불안을 경험하고 있었다. 연구결과는 정책참여자의 경험을 바탕으로 하여 정책을 개선하기 위한 심의와 토의를 촉진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is a policy analysis of Korean apprenticeship program for vocational high-school students, which was adopted in 2014 during Park Kyun-Hye Administration. The program is a part of the Korean dual-system, which is to train newly-employed on-the-job by benchmarking the German and Swiss dual system. The budget of overarching dual-system program amounted to 479.9 billion won in 2017. In 2017, 7,969 students from 186 vocational high-schools were participating in the apprenticeship program from their 2nd year. The Korean government narrated that students were learning skills and aspiring to be experts based on their apprenticeship learning. The researcher did in-person interviews with 33 3rd-year students at 2 schools, who had been participating in the program. The study is to analyze the consequence of the policy by constructing the students' experiences and meanings of participating in the apprenticeship program. This analysis revealed that most students on-the-job had been mainly engaged in unskilled labor with no significant apprenticeship experience. They interpreted their everyday experience at corporations as part-time job or learning social disciplines. They were frustrated and anxious as their expectation of apprenticeship learning was not realized. This policy analysis is to facilitate deliberation and discussion to improve the policy by providing knowledge and interpretation from policy participants.

Ⅰ. 서론: 연구의 사회·정책적 맥락
Ⅱ. 문헌 검토: 해석학적 정책분석을 중심으로
Ⅲ. 연구 방법론: 해석학적 질적 방법론
Ⅳ. 도제학교 정책 개요
Ⅴ. 도제학교 ‘현장학습’의 경험과 의미
Ⅵ. 결론: 연구의 함의, 한계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