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58.82.79
13.58.82.79
close menu
KCI 등재
사전 편찬을 통해 본 리극로(李克魯)의 독립운동사적 위상과 냉전적 해석 굴레의 탈피
A study on the status of the Li Kolu's independent movement through the dictionary compilation and break out of the cold war interpretation framework
이준환 ( Yi Jun-hwan )
배달말 63권 75-112(38pages)
UCI I410-ECN-0102-2019-700-001664888

이 글은 이극로의 어문 연구 활동과 어문 운동의 결과물들을 통해 이것이 국어 연구, 표준적인 한국어의 성립과 발전, 국어사전 편찬에 어떻게 이바지 했는지 생각해 보려는 것이다. 이극로는 외국 생활을 하면서 국어가 민족의 생명이라는 인식에서 국어사전을 만들고 한글 중심의 표기를 하고 철자법을 고쳐야 한다고 생각하였고, 귀국 후 그의 활동은 이 두 가지 과제 달성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그는 음운, 문법, 표기법, 사전 편찬 연구에 매진했는데, 이런 연구는 ‘음운 → 철자법 → 표준어 → 문법(단어 중심) → 사전 편찬’의 흐름으로 이어진다. 그는 1929년에 조선어연구회에 입회한 후 그해 10월에 조선어사전편찬회가 조직되었을 때, 위원과 상무위원 겸 편집부 상무가 되어 사전 편찬을 주도했다. 또한 1931년에 이우식을 회장으로 선출하고 자신은 간사장 역할을 하며 사전 편찬에 필요한 자금 확보에 최선을 다했다. 이처럼 그는 사전 편찬을 실제로 이끌고 자금을 마련하면서, 사전 집필을 위한 큰 틀과 구체적 내용을 고민했다. 이극로는 1947년에 『조선말 큰 사전』 제1권을 발행하고, 1948년에 남북연석회의 참석차 평양에 갔다가 북한에 잔류했다. 이는 통일 민족국가 건설과 언어의 분단은 막으려는 생각에 따른 것이다. 이극로는 북에서 조선어문연구회의 위원장이 되어 조선어 문법 편수 간행, 조선어 사전 편찬 간행, 조선 어문 연구 잡지 간행, 조선 어문 연구 논문집 간행, 조선 어문 특별 강연회 개최 등과 같은 어문 정책을 주도했고, 음조에 관해 다룬 「조선어 조 연구」(1966)과 같은 음성학 연구 성과를 지속적으로 발표했고, 조사 ‘이다’의 문제를 다룬 「체언에 붙는 접미사 <이>의 본질」(1964)와 같은 문법 연구에 관한 성과를 발표했다. 이런 행적으로 보아 그가 북한에 잔류했다는 이유로 남북의 언어 통일을 위하여 사전 편찬과 문법 연구에 매진한 업적이 평가 절하되어서는 곤란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ctivities and the linguistic movement of Li Kolu, and how it contributed to the study of Korean language, the establishment and development of standard Korean language, and the compilation of Korean dictionary. Li Kolu thought that he should make a Korean dictionary with the recognition that Korean language is the life of the nation, and write it in the center of Korean and fix the spelling method. His activities after returning home are focused on achieving these two tasks. In fact, he has been mainly devoted to the study of phonology, grammar, notation, and lexicography, and these studies seem to lead to the flow of phonemic → spelling → standard word → grammar(word-centered study) → dictionary compilation. He became one of the members of the Joseoneosajeonpyeonchanwiwonhoe( Korean Dictionary compilation committee) when he joined the Joseoneoyeonguhoe(Korean-Language Research Association) in 1929, and in October of the same year, he was also a member of the board of directors and editor-in-chief. Then, in 1931, when elected Yi Woosik as the chairman in Joseoneosajeonpyeonchanwiwonhoe, he acted as the secretary and did his best to secure the necessary funds for the dictionary compilation. This shows that he was in a central position in lexicography and in securing the necessary financial resources. When we compare this behavior with his previous research, we can see that Li Kolu has led the dictionary compilation and raised funds, and he himself has been contemplating a big frame for concrete writing and concrete contents. In the following year, 1948, when the first book of the late Joeseneokeunsajeon(Korean Grand Dictionary) was published in 1947, Li Kolu remained in North Korea in 1948. The purpose of remaining in North Korea was to construct a national unified nation and compile a dictionary of the North Korean. After remaining in North Korea, Li Kolu became the chairperson of the Joseoneomunyeonguhoe(Korean-Language Study Group). He published a number of Korean grammar, a dictionary of Korean language dictionary, a Korean-language research magazine, a Korean- -language research paper, a special lecture and the holding of the North Korean linguistic policy. And he continued to present his achievements in phonological research on tone and grammar research. As a result of this behavior, it would be difficult to devalue the accomplishments of dictionary compilation and grammar research for the unification of the languages of North and South, be remained in the North Korea.

1. 들어가며
2. 선행 연구 개관
3. 이극로의 국어 연구의 흐름
4. 이극로의 국어 연구와 국어사전의 편찬
5. 이극로의 북한 잔류와 활동
6. 나오며
참 고 문 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