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41.100.120
3.141.100.120
close menu
KCI 등재
중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개념 생략에 대한 인식 연구
Study on Chinese Learners’ Understanding of Ellipsis in Korean
이암 ( Li Yan ) , 최향옥 ( Cui Xiangyu )
한국언어문화 67권 157-176(20pages)
UCI I410-ECN-0102-2019-700-001667778

본 연구는 한국어 모어화자와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국어 생략 유형 중 중국인 학습자들이 익숙하지 않은 개념 생략에 대한 인식 양상을 알아보는 데에 목적을 두었다. 이와 더불어 생략 성분별, 학습자 숙달도별로 학습자들의 개념 생략에 대한 인식 차이도 함께 살펴보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 모어 화자와 중국인 한국어 중ㆍ고급 학습자 각 15명을 실험 대상으로 하였다. 실험은 사전 편집된 동영상 자료를 피험자들에게 보여주고 여러 상황에서 생략 현상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기 위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한국어 모어화자와 중국인 학습자 간에 개념 생략 인식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학습자의 성분별 생략 인식 차이를 알아본 결과 목적어 생략을 잘 인식한 반면 주어와 서술어 생략에 대한 인식이 부족하였다. 마지막으로 학습자 숙달도에 따른 개념 생략 인식을 알아본 결과 중급 학습자와 한국인 간의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나 고급 학습자와 한국인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이를 통해 중국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생략 연구가 많이 진행되지 않았던 점을 다소 보완하고 이를 효율적으로 교육할 수 있는 기초 연구가 될 것이라고 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types of ellipses in Korean sentences that are difficult for Chinese Korean language learners to perceive from observing a Korean conversation. Furthermore, we investigate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in which the learner is able to recognize the ellipses based on two conditions: (1) the component of the sentence that is omitted (i.e. the subject, the object, the predicate) and (2) the learner’s proficiency level (i.e. intermediate versus advanced-level).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include a group of fifteen Korean native speakers and a group of fifteen intermediate and advanced-level Chinese Korean language learners. In terms of data collection, edited video clips of a Korean language conversation were shown to the participants. Then, the participants were asked to check off the items in which they noticed an ellipse in the speech from the video. From the statistical results, it is evident that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bility of the Chinese Korean language learners to pick up on ellipses in speech compared to the responses provided by Korean native speakers. In addition, while the Chinese Korean language learners excelled in noticing ellipses of the object of the sentences, they lacked the ability to perceive ellipses of the subject and the predicates. Finally, there was also a telling difference between intermediate-level and advanced-level learners in their ability to recognize the ellipses.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 방법
4. 연구 결과
5. 결론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