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117.81.240
18.117.81.240
close menu
KCI 등재
대학생이 지각한 진로불확실성에 대한 대처: 목표 참여, 목표 이탈과 자기 평가와의 관계
Preparing for Career Uncertainty Perceived by College Students: the Relationship of Goal Engagement, Goal Disengagement and Self-Appraisals
홍수현 ( Su-hyun Hong ) , 최윤정 ( Yoon-jung Choi )
상담학연구 19권 6호 155-173(19pages)
UCI I410-ECN-0102-2019-300-001173115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이용이 불가한 자료입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생애발달동기이론에 기초하여, 교육-직업 전환기에 있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증가하는 직업적 불확실성에 직면하여 어떻게 자신의 진로 목표 동기를 조절하는지를 조사하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 K지역 내 4년제 국립 및 사립대학에 재학 중인 3, 4학년을 대상으로 진로불확실성과 조절 전략 그리고 개인의 인지적 자기 평가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여 평균분석과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사회인구학적 요인에 따라 진로불확실성에 대한 지각에는 차이가 없었다. 둘째, 진로불확실성은 목표 참여와는 관계가 없었으며 목표 이탈과 정적인 관계로 나타났다. 셋째, 진로가 불확실한 상황에 대해 위협보다 도전으로 평가하는 상황인지평가는 목표 이탈 전략 중 거리두기 전략과 정적인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진로가 불확실한 상황에 대해 높은 개인자원평가는 목표 참여와 정적인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상황인지평가는 진로불확실성과 목표 이탈과의 관계에서만 조절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난바, 진로불확실성을 높게 지각할수록 상황에 대해 위협이 아닌 도전으로 평가하게 되면 목표 이탈이 더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대학생의 교육-직업으로의 전환 성공을 조력하기 위한 진로 상담의 연구와 실제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to control the motivation of career goals in the face of increasing vocational uncertainty among college students during the school - work transition period, based on the motivational theory of lifespan development (MTD). For this purpose, data on vocational uncertainty, control strategies, and cognitive self - appraisal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by average and regression analyses for the third and fourth grade students at four - year national and private universities in K region. First,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perception of career uncertainty according to socio - demographic factors. Second, career uncertainty was not related to goal engagement, but was positively related to goal disengagement. Third, situational cognitive assessment which is evaluated as a challenge rather than a threat to the situation of career uncertain, was positively related with the distancing strategy among the goal disengagement strategies. Fourth, it was found that high personal resource evaluation for the uncertain situation of career was positively related with the goal engagement. Finally, the situational cognitive assessment derived to play the controlling role onl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uncertainty and goal disengagement. If the situation is evaluated as a challenge rather than a threat, the higher the perception of the uncertainty of the career, the goal disengagement is higher. Based on the results, the research and practice of career counseling to help university students succeed in their school - work transition.

서 론
방 법
결 과
논 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