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45.166.7
3.145.166.7
close menu
KCI 등재
지적장애 학생 및 성인의 기능적 생활기술을 위한 국내 중재연구 고찰
A Literature review of Functional Life Skills for Students and Adul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이수정 ( Lee Soo-jeong ) , 김진호 ( Kim Jin-ho )
지적장애연구 20권 4호 129-156(28pages)
DOI 10.35361/KJID.20.4.5
UCI I410-ECN-0102-2019-300-001131260

기능적 생활기술(functional life skills)이란 일상생활 속에서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삶의 기본 기술이며, 지적장애학생들의 자립생활과 성인생활 적응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반드시 교육해야하는 기술이다. 본 연구는 지적장애 분야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져야하는 기능적 생활기술과 관련된 중재연구에 대하여 조사하고, 지적장애 학생 및 성인들의 기능적 생활기술습득을 위한 효과적인 중재방법과 중재도구 그리고 전략들을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하여 기능적 생활기술 중재를 적용한 중재연구들을 분석논문 선정기준에 따라 총 37편의 국내 중재연구를 최종 분석대상논문으로 선정하였다. 선행연구 분석은 5가지 영역에서 총 12개의 분석변인(국내연구동향, 연구대상, 중재환경, 중재설계 및 절차, 중재프로그램, 세부전략 및 중재도구, 측정도구 및 방법, 목표기술, 관찰자간 신뢰도, 중재충실도, 사회적 타당도, 중재효과와 유지 및 일반화:PND, PZD, 기초선 기준 성취도변화)에 따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중재프로그램은 지역사회중심교수를 많이 실시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기능적 생활기술은 일상 및 주거생활영역과 관련된 기술에 편중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분석대상연구의 중재효과로서 대부분의 연구가 PND값이 모두 90%이상으로 효과적인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기능적 생활기술 중재프로그램의 내용, 방법 그리고 효과의 관점에서 논의하였다.

Functional life skills are basic skills that are essential in all life-span and are systemic to improve the ability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o adapt to adult life. This study investigated intervention studies concerning areas of functional living skills that were dealt with important in the prior analysis paper, as well as effective methods of intervention for the purpose of acquiring functional living skills of students and adul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For this purpose, a total of 37 domestic intervention studies were selected for final analysis by examining the intervention studies for acquiring functional living skills according to the criteria for selection of analytical papers. A total of 12 analysis variables (Domestic research trends, research subjects, intervention environments and procedures, arbitration programs, detailed strategies and interventions, measuring tools and methods, target technologies, interobserver reliability, intervention fidelity, social validity, effectiveness) were conducted in five areas.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intervention program was a community-based instruction, and areas of functional life skills were centered to the areas of daily and residential life, and the effects of the study analyzed results showed that most studies had an effective PND value of over 90 %. These analyses were discussed in terms of the content, methods and effects of the arbitration program for functional living skills.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 고 문 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