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7.79.60
3.17.79.60
close menu
KCI 등재
아동기와 청소년기 지적장애 자녀를 둔 어머니들의 양육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Qualitative Research on Mother’s Experience with Nurturing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홍정숙 ( Hong Jeong-suk ) , 표윤희 ( Pyo Yun-hui )
지적장애연구 20권 4호 157-186(30pages)
DOI 10.35361/KJID.20.4.6
UCI I410-ECN-0102-2019-300-001131311

본 연구는 아동기와 청소년기의 지적장애 자녀를 둔 어머니들이 경험한 양육의 어려움 및 양육에 미치는 긍정적 요인을 심층적으로 분석한 후, 이를 근거로 정책적, 실천적 과제를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에 따라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에 재학하는 지적장애 자녀를 둔 7명의 어머니들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여 집단 면담 및 개별 심층면담을 진행하였다. 면담 내용을 연속적 비교분석법에 의해 분석한 결과, 47개의 소주제, 11개의 주제와 3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3개의 범주는 ‘자녀에 대한 인식’, ‘양육에 미치는 부정적 요인’, ‘양육에 미치는 긍정적 요인’이었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제시한 정책적, 실천적 과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적장애 자녀의 생애주기에 따라 적절한 정보를 제공하여야 한다. 둘째, 생애주기별 장애인 가족지원 기관과 프로그램의 확충이 필요하다. 셋째, 통합교육환경의 여건 개선이 필요하다. 본 연구 결과에 근거한 개선점은 학교장과 교사의 지적장애학생에 대한 태도와 자질 개선, 지적장애학생에 대한 학교폭력 예방 및 학교폭력 발생 시의 적절한 대처가 주로 관련된다. 넷째, 지적장애 자녀를 둔 어머니들에게 사회적 지지가 제공되어야 한다. 나아가 자조모임 등을 통해 자기역량강화를 도모하고, 상호지원과 연대를 확장시켜 갈 필요가 있다.

This study included and in-depth analysis of mothers’ difficulty with nurturing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o identify the factors that positively affected their ability to nurture their children. Based on the results, policies and practical tasks that may help the children and their families were explored. Seven mothers with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were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The participants were both collectively and individually interviewed. The content of the interviews was analyzed using the constant comparative method, and 47 small themes, 11 large themes, and 3 categories were derived from the results. Based on the study results, the following policy and practical tasks are suggested. First, information appropriate for children’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lifecycles should be provided. Second, institutions and programs should be expanded to support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families based on the children’s lifecycles. Third, the condition of the inclusive education environment should be improved. For example, the attitudes of faculty members, including principals and teachers, toward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should be improved. These educators should have the qualifications for dealing with these children. In particular, they should be able to prevent school violence against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appropriately cope with school violence against these students when it occurs. Fourth, social support should be provided to mothers with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Finally, empowerment and mutual support should be sought through self-help meetings, and solidarity should be expanded.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 고 문 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