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189.180.76
18.189.180.76
close menu
KCI 등재
ADHD 아동의 정서인식 능력 - 몰핑기법을 이용한 얼굴표정 정서인식과제를 중심으로
A Study on Emotion Recognition of Children with ADHD -Based on Computerized Facial Morphing Task
곽윤정 ( Kwak Yun-jeong ) , 이효신 ( Lee Hyo-shin )
DOI 10.23944/Jsers.2018.12.57.4.3
UCI I410-ECN-0102-2019-300-001180652

본 연구는 ADHD 아동의 정서인식 능력을 알아보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ADHD 아동 96명과 일반 아동 64명을 표집한 후, 몰핑기법을 이용한 얼굴표정 정서인식과제를 이용하여 정서인식 능력의 집단 간 차이를 분석하고, 정서별 인식 특성을 살펴보았으며, 약물복용 여부에 따른 정서 인식 차이를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은 t검증과 일원배치 분산분석, 그리고 사후분석으로 Scheffe 검증을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얼굴표정 정서인식 과제에 의한 ADHD 아동의 정서인식 능력은 일반 아동과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또한 이들은 기본 정서 중 기쁨 정서 인식을 가장 잘 하였고 공포 정서 인식을 가장 어려워하였는데 이러한 결과는 일반집단에서도 동일하게 나타났다. 약물복용 여부에 따른 정서인식 능력 차이는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ADHD 아동의 교육에 정서인식 관련내용이 강화될 필요성이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emotion recognition between children with ADHD and normal children.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96 children with ADHD, who were in the first to the six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and 64 normal children. The Computerized Facial Morphing Task was adopted to measure their emotion recognition.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one-way ANOVA were performed, and Scheffe test was used for post-hoc analysis.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re was differences in the emotion recognition between children with ADHD and normal children. Regarding the Facial Morphing Task, children with ADHD showed lower recognition than normal children. Second, both of ADHD and normal children showed the best recognition on the emotion of joy, while the worst on the emotion of fear. Third,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the emotion recognition between ADHD children with and without taking medication. From the above results, it was discussed that contents related emotion recognition should be included in the education program for children with ADHD.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 고 문 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