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37.174.216
3.137.174.216
close menu
KCI 등재
로봇시대의 불평등: 일의 미래, 사회의 미래
Inequality in the Era of Robot: Future of Work, Future of Society
김두환 ( Kim Doo-hwan )
DOI 10.17207/jstc.2018.12.21.4.173
UCI I410-ECN-0102-2021-300-000368068

본 연구는 로봇과 인공지능으로 대표되는 4차 산업혁명 시대에 확대 심화하는 불평등 문제를 탐구한다. 우선 현재 일어나고 있는 과학기술변화의 핵심은 인공지능자동화라고 본다. 이러한 성격의 디지털 기술의 심화와 확산이 결과하는 프레카리아트(불안정 노동자)의 등장이나 세계적 규모의 경제적 독점의 등장을 주목한다. 이러한 양상으로 전개되는 불평등의 특징을 자본편향기술변화(captal-biased technological change: CBTC)와 숙련편향기술변화(skill-biased technological change: SBTC) 두 관점에서 검토한다. 그것은 인공지능자동화가 일으키는 변화를 기술적 관점만으로 파악하기 보다는 사회경제시스템과 노동세계에 초래하는 변화에 주목한 것이다. 그러면서 이러한 과정이 한국사회의 경제체제에 일으킨 최신의 변화가 세계적 규모의 불평등 심화와 유사하게 전개되고 있다는 사실을 확인한다. 그러고 나서 전 세계적으로 로봇시대에 심화된 불평등의 원인은 크게 보아 CBTC, SBTC 그리고 개인과 기업수준 모두에서 슈퍼스타의 등장으로 요약한다. 그 양상에는 세계화, 로봇의 부상, 그리고 독점의 확대가 얽혀있고 그러한 원인들의 기저에는 인공지능로봇자동화를 필두로 하는 디지털 기술의 급격한 심화가 작동하고 있다는 것도 확인한다. 다음으로는 이렇게 심화된 불평등에 대처하는 논의를 CBTC와 SBTC의 관점으로 나누어 살핀다. 이렇게 현재의 불평등을 상이하게 인식하는 관점이 보이는 차이를 검토한 후 현재의 불평등을 해소하는 것은 더 이상 더 많은 가치생산의 문제가 아니라고 판단한다. 그것은 이제 분배의 문제가 되었기 때문에 정치의 문제가 되었다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경제적 가치를 중심으로 한 산업시대의 인간노동에 대한 관점을 전환해야 하는 과제를 논한다. 그 과제는 일과 사회에 대한 인식을 경제적 가치에서 사회적 가치를 중심으로 바꾸는 것이 되어야 하는 것이다. 이러한 논의를 중심으로 일의 미래와 사회의 미래에 대한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하는 것으로 연구를 마무리 한다.

This research explores inequalities that are deepening in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represented by robots and artificial intelligence. First of all, the core of science and technology change that is taking place is artificial intelligence automation. Attention is paid to the emergence of precariat(unstable workers) and economic monopolies on a global scale resulting from the deepening and spread of digital technology. This paper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inequalities developed in this aspect from the viewpoint of both captal-biased technological change (CBTC) and skill-biased technological change (SBTC). It focuses on changes in the socio-economic system and on the labor world rather than on the technological changes caused by artificial intelligence automation. In dong so, the paper confirms that the latest changes caused by the economic system of Korean society are similar to the inequalities in the world. Then, the paper summarizes the causes of deepening inequality around the world in robot age as CBTC, SBTC, and the emergence of superstars at both individual and company level. In this process, globalization, the rise of robots, and the expansion of monopolies are intertwined. And the paper identifies that the rapid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y, which is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robot automation, is working with such causes. Next, we discuss the debate on how to cope with such inequalities in terms of CBTC and SBTC. After examining the differences according to different views on current inequality, the paper sees that resolving the current inequality is no longer a matter of more economic value production. It is now a matter of politics because it has become a matter of distribution. Finally, this study discusses the task of transforming the perspective of human labor in the industrial age centered on economic value. The task is to change the view on work and society from economic values to social values. I conclude this study by presenting new possibilities for the future of the work and the future of society centered on these discussions.

Ⅰ. 들어가는 말
Ⅱ. 경제적 가치생산에서 인간 노동의 주변화와 불평등
Ⅲ. 로봇시대 불평등에 대한 대처: 교육과 복지의 확대? 보편적 기본소득?
Ⅳ. 일의 미래: 사랑 그리고 창조
Ⅴ. 나가는 말: 사회적 가치의 부활 그리고 사회의 미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