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42.171.180
3.142.171.180
close menu
KCI 등재
서울시 해방촌 지역의 지리적 특성과 도시재생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and Urban Regeneration of Haebang-chon in Seoul
이나영 ( Na Young Lee ) , 안재섭 ( Jae Seob Ahn )
DOI 10.21189/JKUGS.21.3.6
UCI I410-ECN-0102-2019-300-001137060

서울시 해방촌은 행정구역상 서울시 용산구 용산2가동 일대를 부르는 명칭이다. 과거 해방촌은 지형상 남산의 서남부 구릉지에 발달해 있는 주거지로 물리적 환경이 낙후되어 있었기 때문에 주거비용이 저렴하여 외부 이주민들이 쉽게 정착할 수 있는 곳이었다. 해방촌은 광복『전쟁』산업화 등 역사적 사건을 계기로 모여든 귀환동포, 월남민, 피란민들이 만든 무허가 주거지로 형성되었으며, 점차 농촌에서 상경한 시민, 미군과 군속, 이제는 이주 외국인들이 함께 생활하는 공간이 되었다. 환경 개선이 필요했던 해방촌 지역은 2015년 12월 서울시의 근린재생 일반형 도시재생 활성화 지역으로 지정되었다. 구체적인 도시재생 사업은 공동체 활성화, 지역경제 활성화, 주거환경 개선을 목적으로 추진되고 있다. 해방촌의 도시재생사업은 해방촌이 가지고 있는 지리적 특성과 지역의 역사성, 장소성을 잘 활용하여 추진되어야 하고 지역공동체를 기반으로 주민들의 역량 강화가 필요하다.

The area including and adjacent to Yongsan2ga-dong, Yongsan-gu, Seoul is referred to as Haebangchon. In the past, Haebang-chon was mostly populated with immigrants from other regions benefiting from the low living costs induced by the poor living conditions as a low hill area south-west of Namsan. Over the historical course of independence from imperial Japan, the Korean War, and industrialization, Haebang-chon grew as an illegal residence town flooded with returned migrants, North Korean refugees, and other evacuees, and further evolved into a multi-cultural area with people from agricultural regions, US Armed Forces, civilian employees, and as of recent, foreigners. In need of the environment improvement, Haebang-chon was assigned as an urban regeneration region, a general type of neighborhood regeneration project in Seoul, in December 2015. The urban regeneration project defined three major objects of community rehabilitation, regional economy revitalization, and improvement of living conditions. The urban regeneration project of the Haebang-chon should be promoted by making good use of the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of the area, the historical and locality of the region, and strengthening the capacity of the residents based on the local community.

1. 서 론
2. 해방촌의 지리적 특성
3. 해방촌 도시재생사업의 사례 분석
4. 결 론
註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