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191.234.191
18.191.234.191
close menu
KCI 등재
기후변화 정책 리터러시(policy literacy) 영향 요인 분석
Factor analysis on climate change policy literacy
윤영석 ( Yoon Young Seok ) , 윤지웅 ( Yoon Ji Woong )
사회과학연구 44권 3호 139-160(22pages)
UCI I410-ECN-0102-2019-300-001151786

본 연구는 기후변화 정책 리터러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인구사회학적 변인과 정책문제 인식 변인으로 구분하여 고찰하였고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인구사회학적 요인으로서 성별, 연령, 소득수준은 정책 리터러시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교육수준과 정치성향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다음으로 정책문제 인식 요인으로서 정책문제에 대한 이해수준, 정책문제의 심각성 인식, 정책적 대응의 필요성 인식이 정책 리터러시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문제에 대한 주관적 이해수준과 심각성에 대한 인식은 관련 정책 리터러시에 정(+)의 영향을 주었으며, 객관적 이해수준보다 주관적 이해수준의 영향력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위험에 대한 대응 필요성 인식은 개인적 차원에서의 필요 인식이 정책 리터러시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그간 다루지 않았던 정책문제 인식 요인의 영향력을 규명함으로써 정부 정책의 수립과 집행에 있어 공공의 문제 인식을 제고하는 계기가 선행되어야 함을 제시하고 있다는데 의의가 있다.

In this study, the factors affecting the literacy of climate change policy were classified into socio-demographic variables and policy problem recognition variables. As a socio-demographic factor, gender, age and income level had a positive effect on policy literacy, and educational level and political orientation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Next, as a policy problem recognition variables, the understanding of policy problems, perceived seriousness of policy problems, and the perceived necessity of policy responses to policy literacy were examined. subjective understanding of the policy problem and the severity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policy literacy and the influence of subjective understanding level is greater than that of objective understanding level. The perception of the necessity to respond to the risk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e policy literacy in the individual dimen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it is necessary to raise public awareness of issues in the formulation and implementation of government policies.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분석
Ⅲ. 실증분석
Ⅳ. 분석결과 및 토의
Ⅴ. 결론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