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119.255.94
18.119.255.94
close menu
KCI 등재
베트남 소비자들이 인식하는 한류브랜드 지역성이 국가 친밀감, 소비자태도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Vietnamese Consumers’ Perceived Korean Wave Brand Localness on the Country Affinity, Consumer Attitude and Purchasing Intention
이혜리 ( Hye-ri Lee ) , 채명수 ( Myung-su Chae )
국제경영연구 30권 1호 87-117(31pages)
UCI I410-ECN-0102-2021-300-000354582

본 연구는 베트남 소비자들이 인식하는 한류브랜드 지역성이 국가 친밀감에 미치는 영향과 국가 친밀감이 한국기업, 한국 제품에 대한 태도와 구매의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특히 본 연구는 기존 선행 연구들을 바탕으로 한류의 관점에서 베트남 소비자가 인식하는 브랜드 지역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최근 한국기업들은 한국대중문화를 중심으로 전 세계적으로 높은 인기를 얻고 있는 한류현상을 활용하여 한국 제품과 브랜드를 개발함으로서 한류브랜드를 구축하고 있다. 이에 한류지수가 높게 평가된 베트남 현지 소비자를 대상으로 한류를 잘 반영하고 있는 한국 화장품을 대표적인 한류브랜드로 선정하여 조사하였다. 가설검증을 위해 인터넷, 모바일 URL을 통한 응답 방법을 사용하여 베트남 현지 소비자 총 212명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한류브랜드 지역성은 국가 친밀감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베트남 소비자들이 한국에 대해 긍정적 감정인 친밀감이 형성되면 한국 기업과 제품에 대한 태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소비자태도는 구매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paper deals with the Korean wave brand localness as a factor promoting the purchasing intention to foreign consumers by using the country affinity theory which explains the feeling of sympathy, likability and attachment about a specific country. Recently, Korean firms have been making efforts to build a Korean wave brand by developing Korean products and brands through taking advantage of Korean wave phenomenon, of which gaining popularity globally, focusing on Korean popular culture. Korean wave brand localness, which symbolizes Korea based on the cultural phenomenon on emotional level, is conceptualized as an antecedent of country affection. For this purpose, a total of 212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via Internet and mobile URL response method in order to increase the response rate from Vietnamese consumers who were highly evaluated on Korean wave index. Empirical analysis revealed that the Korean Wave brand localness has a positive (+) effect on the country affection. Likewise, when the Vietnamese consumers gain positive affection toward Korea, its effect on the attitude toward Korean firms and products become positively significant. Then, we verified that the consumer attitude leads to purchase intention.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모형 및 가설설정
Ⅳ. 연구 방법
Ⅴ. 연구 결과
Ⅵ. 결론 및 토의
References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