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41.244.201
3.141.244.201
close menu
KCI 등재
신동엽의 <석가탑>과 현진건의 『무영탑』 비교 연구 ― ‘비어 있음’의 이미지를 중심으로
A Comparative Study on Shin Dong-yeop’s Seoggatap and Hyun Jin-geon’s Muyeongtap: focusing on the image of emptiness
이대성 ( Lee Dae-seong )
비교문학 77권 59-83(25pages)
DOI 10.21720/complit77.03
UCI I410-ECN-0102-2019-800-001774959

이 논문에서는 오페레타 <석가탑>의 의미를 『무영탑』과의 관계에서 드러나는 이미지로서 살펴본다. 신동엽은 생전에 대본을 공개하지 않았고, 팸플릿이나 등사본 어디에도 『무영탑』을 차용했다는 사실을 밝히지 않았다. 따라서 차용 여부와 상관없이 『무영탑』과 함께 「석가탑」이 독서되지 않으면, <석가탑>은 단지 학교 예술행사 중 비교적 나은 공연으로 평가될 수 있다. 하지만 텍스트적 구별의 표면을 발견하고, 선택된 장면들이 바라보이는 한에서, 극 중 인물들이 바라보고, 존중하는 무언가를 독자도 이미지로서 바라보고 숙고할 수 있다. 「석가탑」은 제4경에 이르기까지 시야에 보이지 않는 하늘의 성역을 바라보는 시선 그 자체로서 눈동자 이미지를 전경화하고, 제5경부터는 죽은 아사녀의 빈 자리가 드러나도록 땅 위에 열리는 무덤 이미지를 전경화한다. <석가탑>공연은 독자-관객에게 비어 있는 구멍으로 구별되는 눈동자 이미지를 바라보게 하면서, 불국사 설화에서부터 『무영탑』에 이르기까지 희생의 의미체계 내부에 오직 비어 있음으로 남아 있는 무덤 이미지를 존중하게 한다. 이 오페레타는 평범한 사람들이 종교, 민족, 오락 등의 의미체계로부터 벗어나는 가벼움을 경험하게 하며, 자기가 붙잡고 있던 의미들을 기꺼이 포기하고 비워짐의 세계로 이행할 수 있도록 격려한다.

This paper examines the meaning of operetta Seoggatap as an image revealed in relation to Muyeongtap. Shin Dong-yeop did not make public his script nor did he disclose the fact that he borrowed "Muyeongtap" from any pamphlet or mimeographed version in his lifetime. Therefore, it is not clear whether it is actually borrowed. If the fact that he borrowed Muyeongtap is clearly discolsed, Shin’s Seoggatap can only be seen in relatively good performances among school arts events unless Seoggatap is read together with Muyeongtap. Readers can regard and think of something as an image, that the characters in the play regard and respect, only when surface of textual distinction is found and selected pictures are regarded with the readers’ eyes. Seoggatap foregrounds the image of the pupil as a sight to see the invisible heavenly sanctuary by itself until the 4th landscape. It foregrounds the image of grave opening on the ground, leading the readers to see the empty seat for the dead Asanyeo from the 5th landscape. Seoggatap performance allows readers and audience to see an image of the pupil perceived as an empty hole. At the same time, it allows them to respect the image of the grave that remains empty within the meaning system of the sacrifice from Bulguksa Temple Folktale to Muyeongtap. This operetta allows ordinary people to experience lightness from the semantics of religion, ethnicity, entertainment, and encourages them to willingly give up the meaning they had and to move on to a world of emptiness.

Ⅰ. 들어가는 말
Ⅱ. 하늘의 성역과 눈동자 이미지
Ⅲ. 땅의 성역과 무덤 이미지
Ⅳ. 나가는 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