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42.197.212
3.142.197.212
close menu
KCI 등재
전래 지명어의 음운 대치에 대하여
Phonemic Replacement of Traditional Place Names
김정태 ( Kim Jeong-tae )
영주어문 41권 83-109(27pages)
DOI 10.30774/yjll.2019.02.41.83
UCI I410-ECN-0102-2019-700-001656460

본고는 ‘마을(洞,村), 골짜기(谷), 내(川), 들(坪), 산’ 등 전래하는 대전 지역의 지명어를 대상으로, 지명어에서 음운 대치가 어떻게 실현되고 있는지, 그리고 그 음운 대치가 지명어에서 어떤 의미를 갖는지 고찰한 논의이다. 지명어도 해당 지역의 언어에 순응할 것이라는 점을 예측하고 논의를 전개하였다. 이를테면, 먼저 지명의 유래 등에 의해 근원어가 쉽게 드러나고, 이로부터 자·모음의 대치가 적용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는 지명어들을 분석하였다. 이들은 조음위치동화나 구개음화, ‘이’ 모음역행동화, 모음상승 등 일반적인 음운 현상에 의한 변이가 대표적이며 음운론적으로 설명이 가능한 것들이다. 그 결과 음운 대치에 의해 복수의 지명이 형성되었다. 이와 같은 복수지명은 해당 지역인들의 발화나 청취의 부정확함에도 그 원인이 있는 것으로 보았다. 물론 여기에서 지역의 언어적 특징이 반영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반면 음운 대치에 의해 복수지명을 형성하되, 그 유래의 불분명함으로 인해 근원어를 설정하기 어려운 경우도 있었다. 여기에서는 음운 도치의 일반적인 특징에 기반하여 근원어 설정의 가능성을 모색해 보았다. 나아가 자·모음 대치가 복수지명을 형성한 경우, 변이된 지명에 후세인들이 또 다른 어원을 부여하여 궁극적으로 별개의 지명어를 형성하고 있음도 확인하였다. 따라서 지명어에서의 음운 대치는 복수지명을 형성하고, 이들 사이에서의 변이가 해당 지역어의 언어적 사실에 순응하고, 또는 음운 대치와 같은 언어 일반적인 특성을 통해 근원어를 설정케 하는데 의미가 있는 것이었다. 그리고 자·모음의 대치가 일상어와 달리 다양함을 보이고 있는바, 이는 전래하는 지명어의 특징으로 볼 수 있었다.

This paper discusses phonemic replacement of Place name words in terms of how it is realized and what significance it bears with analysis on Place name words in areas of Daejeon, where traditional ‘village, valley, creek, field, mountain’ names are handed down. The study is based on the prediction that Place name words comply to the local language. Analysis was first made on Place name words whose root words can be easily identified by the origin of the Place name, and where application of consonant vowel replacement can be confirmed. These are phonologically explicable, and are typical variations caused by phonological phenomena such as Assimilation of consonant, Palatalization, Umlaut, and Vowel Raising. As a result, multiple Place names were formed by phonemic replacement. Such multiple Place names are speculated to be caused also by inaccuracies of articulation or listening of the local people. Indeed, reflection of regional linguistic characteristics were verified. On the other hand, there were cases where it was difficult to set root words due to ambiguity of the origin, while multiple Place names were formed with phonemic replacement. In such cases, attempts were made for setting root words based on general characteristics of phoneme inversion. Furthermore, in cases where consonant vowel replacement formed multiple Place names, it was confirmed that descendants eventually formed separate Place name words by applying another root word to Place name variations. Thus, multiple Place names are formed by phonemic replacement in Place name words, of which variations comply to the linguistic facts of the local language, or has significance in setting root words through general linguistic characteristics such as phonemic replacement. Moreover, consonant vowel replacement shows diversity that are different from everyday language, which can be regarded as a feature of traditional Place name words. Setting root words is important in Place name word research, since it enables accurate understanding on variation as a means of documentation of the Korean language. Therefore, field survey research in addition to studying written sources is regarded necessary in order to approach Place name words.

1. 서론
2. 지명어의 음운 대치 분석
3. 결론
참고 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