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49.230.44
3.149.230.44
close menu
KCI 등재
청소년상담자의 성인애착이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 마음챙김과 지각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The Relationships between Adult attachment and Burnout of Adolescent Counselors: The Mediating Effects of Mindfulness and Perceived Social Support
김지영 ( Kim Ji-young ) , 홍혜영 ( Hong Hye-young )
상담학연구 20권 1호 1-20(20pages)
UCI I410-ECN-0102-2019-300-001172461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이용이 불가한 자료입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상담자의 성인애착, 심리적 소진, 마음챙김, 지각된 사회적 지지의 관계를 살펴보고, 청소년상담자의 성인애착이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에서 마음챙김과 지각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서울, 경기 지역 공공 상담기관, 수용시설, 사설 상담 센터, 교육청 및 초·중·고등학교 상담실, 사회복지시설 등에서 근무하는 청소년상담자 306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 상관분석, 구조방정식 모형 검증과 매개효과 검증을 통해 분석되었다. 그 결과, 첫째, 애착불안과 애착회피가 심리적 소진으로 가는 직접 경로가 유의미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이를 통제한 완전매개 모형이 적합한 모형으로 채택되었다. 둘째, 애착불안, 애착회피와 심리적 소진 간의 관계에서 마음챙김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애착불안은 완전 매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애착회피와 심리적 소진의 관계에서 마음챙김의 매개효과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애착불안, 애착회피와 소진 간의 관계에서 지각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지각된 사회적 지지는 애착불안과 애착회피가 심리적 소진에서 모두 완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및 향후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 among adult attachment, burnout, mindfulness, and perceived social support an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s of mindfulness and perceived social support on the effects of adult attachment on psychological burnout of youth counselor. The subjects were 306 youth counselors from the institutions such as public counseling institutions, university counseling centers, private counseling centers, counseling room at education offices and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social welfare institutions, hospitals in Seoul and Gyeong-gi area.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the mediating effects verification, as well as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verification. The stud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complete mediating model was selected because the direct path from attachment anxiety and attachment avoidance to burnout was not significant. Second, as the verification result, the mediating effect of mindfulnes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ttachment anxiety, attachment avoidance and psychological burnout, attachment anxiety completely mediated but there was no mediating effect of mindfulnes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ttachment avoidance and psychological burnout. Third, as the result of verifying the mediating effects of perceived social suppor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ttachment anxiety, attachment avoidance and psychological burnout, perceived social support completely mediated both the relation between attachment anxiety and burnout and the relation between attachment avoidance and burnout.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서 론
방 법
결 과
논 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