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29.70.157
3.129.70.157
close menu
KCI 등재
상담 및 심리치료에서의 트라우마(trauma) 연구동향(2001-2017)
Research Trends in Trauma in Counseling and Psychotherapy(2001-2017)
김정란 ( Jung-ran Kim ) , 장유정 ( Yu-jeong Jang ) , 조항 ( Hang Jo )
상담학연구 20권 1호 67-91(25pages)
UCI I410-ECN-0102-2019-300-001172996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이용이 불가한 자료입니다.

본 연구는 2001년부터 2017년까지의 국내 트라우마 연구동향을 분석함으로써 트라우마 연구의 주요특징 및 그 경향성을 확인하고, 향후 트라우마 연구가 나아갈 방향성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상담 및 심리치료 분야 KCI 등재학술지에 실린 트라우마 관련 연구 총 216편을 수집하여 논문의 기초사항, 연구주제, 연구대상(연령별, 특성별 및 연구변인), 측정도구, 연구방법 등을 분석하였다. 상담 및 심리치료분야에서 국내 트라우마 연구는 2001년에 시작되어 2012년부터 증가하기 시작하였고, 최근 3년 동안 게재된 논문의 수가 전체 연구의 약 50.9%를 차지하였다. 연구대상은 성인(42.9%)과 대학(원)생(29.0%)이 가장 많았고, 연구대상자의 특성으로는 폭력/학대 피해자(20.7%), 상담관련 업무 종사자(15.5%), 상실 경험자(14.7%) 순으로 비율이 높았으며, 대상자 특성과 관련된 연구변인을 함께 서술하였다. 주제별 경향은 외상후 성장(23.5%), SPTSD(subthreshold PTSD)(19.4%), PTSD(14.7%) 순으로 게재 빈도가 높았고, 측정도구는 외상후 성장 도구(PTGI)(97.9%), 외상후 스트레스 진단 척도(PDS)(36.6%), 아동기 트라우마 척도(CTQ)(28.1%), 개정판사건충격 척도(IES-R)(23.8%) 순으로 많이 사용되었다. 전체 연구에서 양적연구는 59.7%이었고, 질적연구는 26.4%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트라우마 연구와 실제의 상호 유기적 측면에서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할 영역과 향후 나아갈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고,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을 추가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rticulate the characteristics of trauma research in Korean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analyze its trends, and provide some directions for trauma research. For this purpose, we collected a total of 216 trauma-related papers in KCI listed journals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from 2001 to 2017, and conducted a content analysis, in terms of the basics of theses, research topic, subject(by age, characteristics, and research variables), research methods, and instrument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number of the trauma research has continuously increased since 2001 and it has exploded in recent three years, which accounted for about 50.9% of the total. The main subjects in trauma studies were adults(42.7%) and college students (29.4%). Specifically, violence/abuse victims(21.4%), counseling-related workers (15.4%), people in the pain of loss(14.5%) were included. For research topic, post-traumatic growth(23.5%), S- PTSD(19.4%) and PTSD(14.7%) were mainly studied. For instruments, PTGI(97.9%), PDS(36.6%), CTQ(28.1%), and IES-R(23.8%) were frequently used for trauma research. For research method, quantitative research method(59.7%) was conducted more than qualitative research(26.4%). These results suggest that more trauma studies need to be conducted on diverse subjects in relation to a variety of topics papers using various measurements and research methods. Finally, the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in our study and the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were discussed.

서 론
방 법
결 과
논 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