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222.69.152
18.222.69.152
close menu
KCI 등재
불안 및 회피 성인애착과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 정서적 과민반응과 단절의 매개효과
The Relationship Between Adult Attachment and Subjective Well-being: The Mediating Roles of Emotional Reactivity and Cut-off
김화정 ( Kim Hwajung ) , 한기백 ( Han Gibaeg )
상담학연구 20권 1호 143-163(21pages)
UCI I410-ECN-0102-2019-300-001173039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이용이 불가한 자료입니다.

본 연구는 불안 및 회피 성인애착이 정서적 과민반응과 단절을 통해 주관적 안녕감을 예측하는 심리적 경로를 구조방정식으로 검증하였다. 서울시와 경기도에 거주하는 성인 직장인들을 중심으로 오프라인 및 온라인 설문을 통해 수집된 306부의 자료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불안애착은 주관적 안녕감을 직접 예측할 뿐 아니라 정서적 단절을 통해서도 예측하였다. 둘째, 회피애착은 정서적 단절을 통해 간접적으로만 주관적 안녕감을 예측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대인관계에서 거절에 대한 불안으로 의존적인 관계를 추구하는 행동경향(불안애착)이 높을수록 주관적인 삶의 만족도가 낮음을 나타낸다. 또한 불안애착이 높을수록 대인관계에서 정서적 반응을 회피하고 단절하는 경향이 높으며 이렇게 정서적 회피와 단절 경향이 높을수록 삶에 대한 만족감이 낮음을 나타낸다. 이와 함께, 친밀한 관계형성을 불편해하며 지나치게 독립적인 행동경향(회피애착)을 많이 보일수록 대인관계에서 정서적 교류를 회피하고 단절하는 경향 또한 높아지며 이렇게 정서적 회피와 단절 경향이 높아질수록 삶에 대한 만족감이 낮아짐을 나타낸다. 이러한 결과는 불안 또는 회피 애착행동 경향이 강한 성인 직장인일수록 삶에 대한 만족감이 낮은데, 그 이유는 대인관계에서 정서적 교류와 반응을 억압, 회피, 단절하는 심리적 기제를 주로 사용하기 때문임을 보여주는데 이는 개인의 기분과 정서를 자유롭게 표현하는 것을 권장하지 않는 한국의 집단주의적 직장문화의 특성과 일정 부분 관련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investigated psychological pathways in which anxious and avoidant adult attachments predict subjective well-being through emotional reactivity and cut-off. A total of 306 participants, most of whom were adult workers in Seoul or Kyeonggi-Do, answered questionnaires either off-line or on-line. The results of data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anxious attachment predicted subjective well-being not only directly but also through emotional cut-off. Second, avoidant attachment predicted subjective well-being through emotional cut-off.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the higher the anxious attachment of seeking for dependent relationship due to fear of rejection in relationship, the lower the subjective life satisfaction. Besides, the higher the anxious attachment, the higher the tendency of emotional cut-off, which in turn lowers subjective well-being. In contrast, the higher the avoidant attachment of feeling uncomfortable with close relationship and being overly independent, the higher the tendency of avoiding and cutting off emotional expression, which in turn lowers subjective life satisfacti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adult workers who have either more anxious or more avoidant attachment show lower life satisfaction because they tend to use psychological mechanism of avoiding and cutting off emotions in relationship. These findings partially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collectivism culture of Korean workplace that does not recommend freely expressing personal feelings and emotions.

서 론
방 법
결 과
논 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