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6.218.62
3.16.218.62
close menu
KCI 등재
광고회사 직무 스트레스와 업무불만이 업무창의성과 팀 성과 인식에 미치는 영향
A Multidimensional Analysis on the Influences of Work Stress and Job Dissatisfaction on the Perceived Creativity of Individual and Team Performance in Advertising Agency
조경식 ( Kyoung Sik Cho ) , 이철영 ( Chull Young Lee )
DOI 10.23875/kca.27.1.6
UCI I410-ECN-0102-2021-300-000349170

본 연구는 최근 변혁기의 전통적 광고회사들이 처한 업무스트레스와 불만의 증가 상황과 업무창의성 및 일과 삶의 균형(워라밸)에 대한 산업적, 사회적 요구의 증가가 광고업 종사자 개인에게 어떤 연관성을 가지는지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에 업무스트레스와 업무불만을 독립변수로, 조직몰입과 업무창의성을 매개변수로 하여 팀 성과와 삶의 질을 종속변수로 하는 연구모형을 구성하였다. 광고회사직원들을 대상으로 연구목적에 의거한 이론적 가설을 세우고 이를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검증결과, ① 업무스트레스가 조직몰입과 삶의 질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 ② 업무불만이 조직몰입, 업무창의성, 팀 성과, 삶의 질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 ③ 조직몰입이 업무창의성, 팀 성과, 삶의 질 인식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 ④ 업무창의성이 팀 성과와 삶의 질 인식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에 대한 가설들은 유의한 수준으로 지지되었다. 반면 업무스트레스가 업무창의성과 팀 성과 인식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 가설들은 기각되었다. 따라서 개인수준에서 업무스트레스와 업무불만, 업무창의성, 팀 성과와 삶의 질이 서로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업무창의성과 조직몰입은 조직의 성과를 위한 수단일 뿐만 아니라 개인의 삶의 질에도 긍정적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다. 또한 업무불만이 업무스트레스 보다 조직몰입, 업무창의성, 팀 성과, 삶의 질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력이 더 높으므로 실무적 측면에서 업무불만의 통제가 우선되어야 한다는 시사점을 얻을 수 있다.

The objective of study is to analyze the individual-level effects of recent issues in advertising industry; the rises of job stress and dissatisfaction, the growing demands on job creativity and work and life balance. We set up a research model that includes job stress and job dissatisfaction as independent variables,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creativity as mediate variables and perceived team performance and quality of life as dependent variables. As results, negative effects of job stress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quality of life, negative effects of job dissatisfaction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job creativity, perceived team performance and quality of life, positive effects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on job creativity, perceived team performance and quality of life, and positive effects of job creativity on perceived team performance and quality of life are supported, while negative effects of job stress on job creativity and perceived team performance are rejected. In conclusion, the study implies that major variables of this study-individual job stress, job dissatisfaction, organization commitment, job creativity, perceived team performance and quality of life-a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each other. Also job creativity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can be understood as positive measures that affect not only job performance but also the quality of life. Lastly, in terms of practical implementation, since the negative effects of job dissatisfaction is stronger than those of job stress, appropriate management of job dissatisfaction should be mandatory.

1. 연구배경과 목적
2. 이론적 배경과 연구가설
3. 연구방법
4. 연구결과
5. 시사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