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45.119.199
3.145.119.199
close menu
KCI 등재
지역브랜드 자립화와 디자인정체성 형성에 관한 연구 - 일본 디앤디파트먼트 사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Self-reliance of Regional Brand & the Formation of Design identity - Focused on D&Department in Japan -
류안영 ( An-young Ryou ) , 손원준 ( Won-jun Son )
한국디자인포럼 62권 49-58(10pages)
UCI I410-ECN-0102-2019-600-001693317

연구배경 산업기반의 경제논리에서 문화가 새로운 키워드로 대체됨에 따라 문화정체성이 반영된 디자인제품과 컨텐츠는 새로운 경제적 가치로 부상하였고, 이에 따라 ‘한국적 디자인’에 대한 관심과 논의 역시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한국은 근대화와 식민지시기를 겪으며 디자인정체성의 근간인 전통이 단절되어있어, 산업화에서 소외된 지역문화의 형태로 남아있는 전통적 가치를 발굴하는 작업이 필요해 보인다. 지역문화를 근간으로 하는 디자인으로서 지역브랜드를 개발하고 활성화시키려는 시도는 꾸준히 있어왔으나, 지역 특성과 문화에 대한 조사 및 분석과 전문 인력의 부족, 브랜드 관리를 위한 장기적 전략의 부재 등으로 지역 고유의 가치를 발굴하여 지속화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지역브랜드 개발에 관한 선행연구들은 브랜드 속성이나 소비자 관점의 인지적 반응 위주로 진행되어 브랜드 개발과 관리에 있어 지역 상황에 맞는 구체적인 방법론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지역브랜드 개발의 실질적 전략과 적용 가능한 현실적인 방안을 제안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문헌연구를 통해 디자인정체성과 전통의 관계를 고찰한 후, 디자인정체성의 근간인 전통과 지역성의 관계를 살펴봄으로써 지역의 문화적 가치 발굴과 현대화 과정이 디자인정체성 형성에 어떤 역할을 하는지 밝히고자 하였다. 지역브랜드 개발의 구체적 방법론을 제시하기 위한 사례연구로서 일본 전 지역의 지역브랜드를 균형있게 활성화시키는 디자인 활동을 추진 중인 디앤디파트먼트 프로젝트에 대해 지점 2곳 방문 및 직원 인터뷰, 출판물과 관련 기사, 홈페이지와 SNS 등을 통해 조사하고 시스템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지역의 전통과 문화를 담은 디자인이 일상에서 공유되기 위해 이미 존재하는 지역제품을 지역성과 디자인적 시선을 기준으로 선별하고, 판매를 위한 마켓과 시스템을 함께 개발하여, 지역문화 및 산업에 대한 지속적인 공부와 지식공유를 통해 지속가능한 지역브랜드 개발 및 관리가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결론 디자인을 산업의 수단으로서만이 아니라 문화적 측면에서 정체성을 빚어내는 매체로서 인식하고, 지역의 전통 문화상품이 일상에서 판매, 사용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냄으로써, 각 지역의 브랜드들이 차별화된 지역성을 지니면서도 상생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Background The tradition for the formation of the design identity can be rediscovered in local cultu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practical strategies and solutions that can be applied to the development of regional brands as the design which based on local culture. Methods Through literature reviews, the study revealed how the development of local cultural value and the process of modernization play a role in creating the design identity. And the case study which investigated and analyzed Japan's D&Department projects was conducted to present specific methodologies for the development of regional brands. Result Local traditional design can be shared in daily life, through regional brand development and management by selecting local products, developing markets and systems for sale, studying of local culture and industry continuously. Conclusion By recognizing design as media that create cultural identity and by creating a system that can be used in daily life with a modern sense, we expect that brands in each region can coexist and have differentiated regionalism.

1. 서 론
2. 디자인정체성과 지역성
3. 지역브랜드
4. 디앤디파트먼트 사례
5. 디앤디파트먼트 분석
6.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