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191.174.168
18.191.174.168
close menu
KCI 등재
전시 기반 상-하향식 플로팅 홀로그램 시청 구간별 영상 콘텐츠의 현존감 분석
Analysis of Video Contents’Sense of Presence by Viewing Section of Top-Down Floating Hologram for Exhibition
박장원 ( Jang-won Park ) , 김태완 ( Tai-wan Kim )
한국디자인포럼 62권 69-80(12pages)
UCI I410-ECN-0102-2019-600-001693357

연구배경 플로팅 홀로그램 영상 콘텐츠를 통하여 현존감을 고려한 홀로그램 영상 콘텐츠 표현 연구가 이루어졌고 결과가 도출이 되었다. 하지만 실제로 시청자는 플로팅 홀로그램과 먼 거리부터 가까운 거리까지 시청하는 거리가 각기 다를 수가 있다. 본 논문을 통해서 거리에 따른 현존감을 고려한 홀로그램 입체영상 표현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현존감을 고려한 홀로그램 입체영상 표현 연구는 정보통신단체표준에서 규정된 영상품질평가 목록에 명시되어있는 영상 콘텐츠의 밝기, 채도, 대비, 선명도, 노이즈 5가지를 기준으로 각각 다른 7가지의 변환 계수를 시청자의 설문에 따라 가장 현존감이 있는 영상 콘텐츠의 정도가 결과로 도출이 되었다. 이를 기반으로 전시용으로 개발된 상, 하향식 플로팅 홀로그램의 시청자의 적정 시청 거리에 해당하는 총 6 구간을 중심으로 설문을 통한 현존감을 고려한 홀로그램 입체영상 표현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시청자의 시청 거리가 가까울수록 밝기, 채도, 대비, 선명도, 노이즈의 수치가 전반적으로 높은 수치가 측정이 되었다. 이는 기존 현존감을 고려한 홀로그램 입체영상 표현 연구와 유사한 수치임을 알 수 있고 시청자의 시청 거리가 멀어질수록 해당 수치는 점차 낮게 측정이 되었다. 결론 전시 기반 상-하향식 플로팅 홀로그램의 시청 구간별 영상 콘텐츠의 현존감 분석을 통하여 전시관마다 다른 시청 구간에 본 논문을 통해 도출된 거리에 따른 영상 콘텐츠의 밝기, 채도, 대비, 선명도, 노이즈 5가지의 수치를 대입할 수 있고 해당 시청 구간에 적합한 가장 현존감이 높은 수치를 제시할 수 있다.

Background A previous study was conducted on the expression of hologram video contents considering a sense of presence though floating hologram video contents and yielded results. However, viewers’ distance from floating hologram can differ, from long to short. This study aims to express 3D hologram video considering a sense of presence according to distance. Methods 3D hologram video considering a sense of presence, viewers with 7 different conversion factors were surveyed based on the 5 items listed on the video quality evaluation list provided by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standards: brightness, chroma, contrast, resolution, and noise. As a result, the degree of video content with the greatest sense of presence was derived. Based on this, the study on the expression of 3D hologram video considering a sense of presence proceeded through a survey focusing on 6 sections that correspond to appropriate viewing distance for the top-down floating hologram developed for exhibition. Result As the viewer’s viewing distance is shorter, high values of brightness, chroma, contrast, resolution, and noise were measured overall. These values are similar to the previous study on the expression of 3D hologram video considering a sense of presence. The longer the viewers’ viewing distance, the lower the measured values. Conclusion the values of video contents’ brightness, chroma, contrast, resolution, and noise derived from this study can be put into viewing sections that differ for each exhibition hall and suggest a value with the greatest sense of presence appropriate for the relevant viewing section.

1. 서 론
2. 이론적 배경
3. 전시 기반 상-하향식 플로팅 홀로그램 시청 구간별 영상 콘텐츠의 현존감 분석
4. 결론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