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5.5.183
3.15.5.183
close menu
KCI 등재
“그녀는 정말 소유되었나?” ― 수산나 산트리버와 엘라이자 헤이우드에 나타난 결혼법, 재산, 그리고 광기
“[I]s the Woman Really Possessed?”*: Marriage Act, Property, and Madness in Susanna Centlivre and Eliza Haywood
임재인 ( Lim Jane )
인문논총 76권 1호 47-78(32pages)
UCI I410-ECN-0101-2019-000-001002163

본고는 수산나 산트리버의 희극 『참견쟁이』(1709)와 엘라이자 헤이우드의 연애 소설 「고뇌하는 고아, 혹은 정신 병원에서의 사랑」(1726)에 나타난 결혼, 언어, 광기의 관계를 통해 18세기 영국에서 여성의 재산권과 자기소유권의 문제가 어떻게 사유되는지 살핀다. 산트리버와 헤이우드의 여자 주인공들은 법적 후견인이 지정한 남성과 결혼한다는 조건으로 아버지의 재산을 물려받을 수 있다. 따라서 그들은 아버지의 재산을 소유하는 동시에 자신이 원하는 남편감을 선택할 방법을 모색한다. 이 전략 때문에 그들은 ‘미친’ 여자로 취급되는데, 이는 당대 사회가 규정한 젠더와 사회 학습에서 벗어나는 행위이기 때문이다. 흥미롭게도, 이 작품은 ‘소유하다’는 동사를 여성의 결혼 상태를 지칭하거나 혹은 비이성에 사로잡혀 미쳤다는 뜻으로 사용한다. 결혼과 광기는 교통 가능한 것이며, 결혼한 여성과 미친 사람 모두 재산권을 소유할 수 없다는 특징을 보인다. 당시 여성은 결혼 후 재산권을 주장할 수 없었고, 아내의 모든 소유는 곧 남성의 것이었다. 로크는 인간이 재산을 소유하기 위해서는 먼저 자기 내면의 재산, 즉 스스로를 다스리고 통제할 자주권이 동반되어야 한다고 설명한 바 있다. 이 맥락에서, 아버지의 재산권을 주장하는 동시에 자기 몸과 욕망의 주체가 되고자 하는 여주인공들은 결혼이라는 제도를 통해 근대 영국 사회 계약이 유효한 것인지 묻는다. 특히 이 두 작품은 구어로 맺은 약속 대신 문서화된 증표를 통해 결혼을 적법화시킨 1753년 결혼법의 모순을 드러내고, 남성들이 공표한 언어와 법적 권위가 여성의 광기를 통해 희석되는 과정을 보여준다. 산트리버와 헤이우드의 ‘미친’ 여자들은 언어의 운용을 통해 정상과 비정상, 적법과 비적법의 경계를 변주하고 여성 재산권과 자주권의 가능성을 확인하는 것이다.

This paper reads the marriage plot of Susanna Centlivre’s comedy The Busybody (1709) and Eliza Haywood’s amatory fiction The Distress’d Orphan, or Love in a Madhouse (1726) to investigate the vexed question of women’s legal right over property, marriage, and self-governance in early modern England. Specifically, the female protagonists of Centlivre and Haywood attempt to reconcile the right to property and self-ownership by commanding their father’s inheritance but defying the rule of the father. Their female protagonists are dubbed “mad” at one point or another because the articulation of female rights challenges normative social and gender behavior prescribed by men; the trope of the mad woman is used specifically to reflect on women’s negotiation between self-possession and the state of marriage in which women in essence become property of her husband and thereby “possessed.” To put it in Lockean terms, the right to property is predicated on one’s ability to first claim “property in his own person,” an internal property that cannot be alienated. Reading Centlivre and Haywood’s texts as anticipating the marriage Act of 1753 that codified legal marriage through written documents, I argue that the female protagonists of Centlivre and Haywood overwrite their guardian’s legal authority through the manipulation of language and symptoms of madness. This paper explores how the interplay between legality, literacy, and lunacy negotiates the possibilities of women’s right over property and self-ownership.

1. Introduction
2. Marriage Act of 1753 and the Performance of Words
3. Owning Letters, Words, Legality
4. Mad House, Marriage, and Language
5. “Is the Woman Really Possessed?”: Possessing and Being Possessed
Bibliography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