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221.146.223
18.221.146.223
close menu
KCI 등재
17~18세기 네덜란드와 영국의 인형집 ― 젠더, 가정, 소설
Seventeenth-century Pronk Poppenhuisen and Eighteenth-Century English Baby Houses: Gender, Domesticity, and the Novel
정희원 ( Chung Heewon )
인문논총 76권 1호 79-109(31pages)
UCI I410-ECN-0101-2019-000-001002143

이 논문은 르네상스 시대의 스투디올로와 ‘호기심의 방’에서 출발해 17세기부터 18세기까지 네덜란드와 영국의 인형집을 차례로 분석하면서 16~18세기 수집실과 인형집, 실내 공간의 역사에서 지식과 권력이 교차하고 젠더와 가정성이 수행되는 지점을 고찰함으로써 인형집이라는 오브제의 의미를 맥락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과정에서 18세기에 발흥하기 시작하는 소설 장르가 인형집이 재현하는 시각문화와 갖는 친연성에 대해 논한다. 글의 전반부에서는 17세기 네덜란드의 인형집이 갖는 전시적 성격에 주목하여 전시용 인형집이 이전의 수집실과 어떤 차별점을 갖는지 고찰해 보고, 당대의 엠블럼집 등에서 나타나는 가정성의 문제와 연계해서 분석해 본다. 논문의 후반부에서는 18세기 영국식 인형집을 대상으로 인형집이 갖는 시각적 메커니즘과 소설 장르가 갖는 관계, 인형집이 재현하는 가정성의 성격에 대해 논한다.

This paper seeks to contextualize dollhouses from seventeenth-century pronk poppenhuisen to eighteenth-century English baby houses against the backdrop of gendering of interior spaces, and the rise of domesticity and the novel. Starting from the studiolo and cabinets de curieux, this study analyzes the intersection of power and knowledge, and the performance of gender and domesticity in the history of collection and domestic spaces. The purpose of the first part of this article is to survey the differentiation of pronk poppenhuisen from the cabinets of curiosities in terms of gendering of the collection, paying attention to the rise of domesticity exemplified in the contemporary emblem books. The second part of the paper examines the domestic value and sensibility represented implicity and explicitly in eighteenth-century English baby houses, and in doing so, it discusses how baby houses and novels visualize the interiority of both the households and the bourgeois subjects.

1. 들어가며
2. 수집실의 젠더 ― ‘호기심의 방’과 인형집
3. 인형집과 소설 ― 18세기 영국 인형집과 집안 들여다보기
4. 나가며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