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224.59.231
18.224.59.231
close menu
KCI 등재
제주 유배객 충암(沖菴)의 교유와 감춰진 이름들
Hidden Names and the Social Interactions of Chung-Am (沖菴) During His Exile in Jeju
김덕수 ( Kim Deok-su )
인문논총 76권 1호 145-182(38pages)
UCI I410-ECN-0101-2019-000-001003786

충암(沖菴) 김정(金淨)이 제주 적소에서 지은 시편이 「海島錄」에 실려 있다. 작품이 영성할 뿐만 아니라 당시 정황을 추론할 만한 단서가 부족한 탓에 시편 제작의 배경과 유배기 교유의 실상을 파악하기가 쉽지 않다. 충암의 제주 시편은 처음부터 「해도록」이란 시록(詩錄)에 별도로 묶였다. 초기 형태의 「해도록」이 초간본 간행 직전까지 존재했다는 점, 『충암집』 간행을 두 차례 거치며 편차자 견해에 따라 주석이 가감 되거나 작품의 소종래가 자의적으로 판단되었다는 점, 충암의 초고 한 시 가운데 애초에 제목이 달리지 않은 작품이 다수 있었다는 점, 충암의 저술로 여겨지는 『濟州日記』가 <沖庵先生年譜> 찬술 시점까지 실재 했다는 점 등은 주목을 요한다. 훈구파의 서슬 퍼런 감시와 압박에도 불구하고 사제(思齊) 안처순(安處順)은 물심양면으로 기묘사림을 도왔다. 안처순과 기묘제현이 수수한 서간을 통해 당시 삼엄했던 정국과 기묘제현의 위축된 입지, 간찰을 매개로 시국에 관한 정보까지 전달해 준 사실 등을 엿볼 수 있다. 충암이 적소에서 지은 시편 가운데 대상 인물이 감춰지거나 왜곡된 경우가 자주 보이는 것은 자칫 훈구파의 감시망에 포착된다면 본인뿐만 아니라 가문 자체가 초토화될 수 있으므로 후환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노력에 다름 아니다. 안처순으로 추정되는 인물이 절해고도의 유형지까지 직접 찾아가 죽음을 목전에 둔 벗을 위로했고, 내륙의 벗이 인편을 통해 술이나 시문을 보내며 서로 소통했으며, 충암을 익히 알아왔던 제주목사 이윤번(李允蕃)이 위리안치 공간을 방문하여 개인적 만남을 가진 듯하다. 그러나 작품 속에 그들의 실체가 전혀 드러나지 않는다. 반면 일부 제주 토착민과 제주목사 이운(李耘)의 실명이 문면에 노출되는 것은 교제의 성격과 시편의 내용이 사당(私黨) 수립이나 역모 동조의 혐의와 거리를 두기 때문이다.

In 「Haedorok (海島錄)」, 37 poems with titles which were assumed to be written by Chung-Am (沖菴) while he was exiled in Jeju are listed. Since the number of poems is small and there are not enough records to deduce the circumstances of the time, it is hard to understand the background and social interactions of Chung-Am during his exile in Jeju. There are several points to be noted; the fact that 37 poems were listed in the anthology 「Haedorok」 from the beginning; that 「Haedorok」 existed right up to the publication of its second edition; that the comments were edited and their histories were judged arbitrarily while Chungamjip was published twice; that a lot of works in the early days of Chung-Am were untitled, that Jejuilgi (濟州日記), which is another assumed work of Chung-Am, existed until the time of compilation of < Chungamsunsaengyeonbo > (沖庵先生年譜), and other facts are worthy of attention. Despite the severe surveillance of the Hungupa, who were looking for opportunities to wipe out the power of Confucian scholars, Sajedang (思齊堂), An Chu-Sun (安處順) helped the Gimyo-sages (己卯諸賢) both materially and morally. Letters from An Chu-Sun and the Gimyo-sages provide a glimpse into the harsh political situation and the daunted position of the Gimyo-sages; they also contain an intent to deliver information about the state of affairs of the time. The frequent concealment or distortion of characters in the poems of Chung-Am written in Jeju can be regarded as representing efforts to get rid of any source of possible trouble, given that detection by radar of the Hungupa could have brought about a fatal result to the entire family. On the other hand, the names of some of local residents of Jeju and Lee Un, the governor of Jeju of the time, were fully stated in his works, because those works were distant from personal affection or allegations of conspiracy.

1. 서론
2. 제주 유배객 충암의 문학 활동과 『충암집』 간행
3. 닫힌 공간 속, 충암의 교유와 소통
4. 결론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