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119.125.135
18.119.125.135
close menu
KCI 등재
국어 교과서 텍스트의 대인관계적 기능 분석 - 단원 도입부를 중심으로
An Analysis of Interpersonal Functions of Texts in Korean Textbooks-Focusing on Unit Introduction Parts
김서경 ( Kim Seokyoung )
한국어문교육 27권 155-188(34pages)
UCI I410-ECN-0102-2019-700-001657194

본고에서는 국어 교과서의 장르적 특성을 규명하고자 체계기능언어학의 메타기능 중 대인관계적 기능에 초점을 맞추어 국어 교과서 텍스트를 분석 하였다. 교과서 텍스트는 중첩된 ‘교환’이 이루어지는 특징을 보인다. 청자인 학생과 화자인 교사, 교과서 집필자, 교육과정 개발자 간의 상호작용이 그것이다. 또한 교육 전문가라는 화자의 지위는 청자인 학생과 불균형한 관계를 형성한다. 중첩된 화자로 인한 의사소통을 단일화하고, 화자와 청자의 관계를 수평화하기 위하여 교과서는 가상 화자를 설정한다. 가상 화자로는 교사, 또래 학생 등이 제시되며 이는 무드부(Mood)의 주어 및 정형어(Finite)의 선택과 밀접한 관련을 맺는다. 2015 교육과정의 중학교 1학년 국어 교과서를 대상으로 삼아 단원 도입부 텍스트를 분석해 본 결과 주어로 대명사 ‘우리’가 상당히 많이 활용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 문장 유형과 대우 체계 및 양태 표현의 경우 비교적 단조로운 형식을 유지하고 있었다. 특히 화자 설정 및 관계(Tenor)가 정형어와 관련되므로 이에 대한 선택에 있어 더욱 신중을 기해야 함을 파악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분석 결과는 교과서 텍스트에서 대인관계적 기능이 더욱 중요시 되어야 함을 보여주었다.

To identify characteristics of Korean textbooks, this paper focused on interpersonal functions while analyzing Korean textbooks. The interpersonal function is one of the three metafunctions of Systemic Functional Linguistics. Textbook texts are characterized by multilayered 'exchanges': Interactions between a student as a listener and a teacher, textbook writers, and curriculum developers as a multilayered speaker. Also, the speaker's position as an educational expert makes the relationship with the student unbalanced. The textbook sets up a virtual speaker; to unify the communication due to the multilayered speaker, and to form the horizontal relationship between the speaker and the listener. Virtual speakers include a teacher, a fellow student, etc. This is closely related to the choice of Subject and Finite of the Mood. The study was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text used in the unit introduction part in the first grade Korean textbook for middle school students of the 2015 curriculum.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pronoun 'We' was frequently used as the Subject. It also showed that sentence types, honorific system and modality were relatively monotonous in these texts.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interpersonal functions should be treated more importantly in textbook texts.

1. 들어가며
2. 대인관계적 기능의 개념
3. 교과서 텍스트의 ‘화자’와 대인관계적 기능
4. 국어 교과서 텍스트의 대인관계적 기능 분석
5. 나오며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