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22.51.241
3.22.51.241
close menu
KCI 등재
가정 폭력의 실상과 해석의 간극, 그리고 효 담론의 작동 방식 - < 장화홍련전>을 중심으로 -
The gap between the reality of domestic violence and interpretation and the way the Discourse of Filiality works - Focusing on Janghwahonglyeonjeon
서경희 ( Seo Kyung Hee )
온지학회 2019.01
온지논총 58권 111-142(32pages)
DOI 10.16900/ONJI.2019.58.04.111
UCI I410-ECN-0102-2019-800-001772440

본 연구는 <장화홍련전>에 나타난 폭력의 실상과 해결 과정, 그리고 이를 해석하는 시선에 주목하였다. 이 작품에서 가장인 배좌수의 권력은 집안의 이익에 따라 구성원들에 대한 처분을 일방적이고 매우 폭력적인 방식으로 결정하고 실행에 옮긴다. 이러한 폭력 행사에 의해 장화 자매의 존재가 파괴되고 부정되는 피해가 발생하지만, 박인수본에 비해 구활자본에서는 가장이 가해의 책임에서 점차 벗어나게 된다. 친 생부의 처벌이 경감되고, 피해자를 포함한 모든 구성원이 원인제공자로서의 혐의를 온전히 벗지 못하며 가장이 져야할 가해의 책임까지 모두 계모에게 지운다. 또한 향유층의 해석이 반영되는 후기 이본에서는 가정에서 일어난 비극적 폭력 사건의 실체를 밝히고 시비를 가리는 것보다 상징적 악인을 징치하고 가정을 복원하는 것이 흡족한 결말로 자리잡게 된다. 이처럼 서사가 조정되면서 장화 자매는 가해자인 부친을 옹호하는 입장을 취하여 가부장제의 존속에 기여하는데, 이는 향유층이 강력하게 작동하는 효 담론을 거슬러 가장을 정조준하여 고발하는 것이 현실적으로 용납되기 힘든 환경임을 의식하기 때문이다. 장화자매의 자기모순적 발언은 부모의 잘못된 행실을 드러내면서도 공동체로부터 비난받지 않을 수 있었던 생존 전략이다. 이러한 자기 보호색을 갖추어야만 장화 홍련은 여전히 피해자로 남을 수 있고 국가 이념의 테두리 내에서 선한 인물로 평가받을 수 있는 것이다.

This study focused on the actual situation of violence in Janghwahonglyeonjeon, the process of solving it, and the perspective of interpreting it. In this work, the patriarchal power determines the disposition of the members in a unilateral and violent manner in accordance with the interests of the family. Such violence causes the victim to be destroyed and denied. In later versions, however, the patriarch gradually deviates from the responsibility of injustice. The punishment of the biological father is alleviated, and all the members including the victim can not completely remove the charge as the cause provider, and all the responsibility of the patriarch must be transferred to the stepmother. In the latter version, which reflects the interpretation of the enjoyers, it is more convenient to punish the symbolic wicked person and restore the family than to identify the reality of the tragedic violence in the family and reveal the responsibility. In this process of narrative change, Janghwa and Honglyeon take the position of advocating his father, the perpetrator, and contributes to the survival of patriarchy. This is because the discourse of the filial duty works strongly, so that the enjoyers are conscious that it is an environment where it is unacceptable to accuse the patriarch directly. Their self-contradictory remarks are survival strategies that could reveal the wrong behavior of their parents and not be blamed by the community. These self-protective colors can still be left as victims, and they can be regarded as good people within the framework of national ideology.

Ⅰ. 서론
Ⅱ. 폭력의 실상 - 권력의 속성과 피해의 형상
Ⅲ. 폭력의 해석 - 피해자와 가해자에 대한 시선의 변화
Ⅳ. 폭력의 이면 - 공적 판결의 의미와 피해자의 생존전략
Ⅴ. 결론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